용인경전철지부 "승객안전 책임 못지는 용인경전철 안전대책 마련"

10일 오후 민주노총 전국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동조합 용인경전철지부가 용인시청 앞에서 용인경전철 운영 실태 고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김현수기자
10일 오후 민주노총 전국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동조합 용인경전철지부가 용인시청 앞에서 용인경전철 운영 실태 고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김현수기자

용인경전철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지 3주가 채 안 된 가운데 안전사고만 수백건에 달하자 민주노총 전국공공운수노조 용인경전철지부가 안전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용인경전철지부는 10일 기자회견을 열고 “스크린도어 사고로 승객 부상과 불편이 이어지고 있지만, 용인시와 시행사는 스크린도어 오작동 이후 고치는 방식을 택했다”며 “이는 승객의 안전사고 예방이 아닌 땜질 방식일 뿐”이라고 말했다.

이어 “사고 발생 3주가 다 되어서야 오작동 횟수를 줄여 발표하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다”며 “그저 사과만 할 뿐 사고의 책임은 지지 않고 있다”고 비판의 수위를 높였다.

앞서 시는 지난달 18일 용인경전철 15개 역사 승강장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했지지만, 지난 8일까지 180여건의 운행장애와 5건의 인명사고가 발생했다.

아울러 용인경전철지부는 스크린도어 사고원인을 ‘다단계 구조 속 최저가 입찰’을 꼽았다.

스크린도어 설치 업체를 입찰하는 과정에서 기술평가 없이 오로지 최저가 입찰만을 통해 지금의 업체를 선정, 기술력이 떨어지는 업체 입찰을 통해 안전사고로 이어졌다는 지적이다.

이에 용인경전철지부는 ▲스크린도어 운행중단과 안전사고에 대한 대책 마련 ▲다단계 운영 개선을 통한 사고책임 명확화 등을 요구했다.

이석주 용인경전철지부장은 “시민의 안전을 책임지기 위한 스크린도어 때문에 오히려 사고 위험이 커졌다. 하지만 용인시는 점검만 할 뿐 문제의 원인을 정확히 전달하고 있지 않다”며 “용인시는 다단계 운영으로 책임을 회피할 게 아니라 직접운영함으로써 승객의 안전을 책임져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용인=김현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