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일자리재단)를 비롯한 31개 시·군에는 600여명에 달하는 직업상담사 선생님들이 근무하고 있다. 직업을 찾는 사람들에게 적합한 일자리 정보를 제공해 주거나 직원을 뽑는 회사(기업)들에 알맞은 사람들을 추천해 주는 맞춤형 취업지원 서비스 업무를 담당한다.
누구나 예측하듯이 지금의 고용동향은 코로나19 이후 단순, 노무직 근로자를 제외하고는 최대 취업자가 감소하는 등 경제적, 고용환경이 최악의 상황이라 볼 수 있다. 이 모든 경제적 여건과 조건에서 너무도 중요한 일을 한다는 것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런 반면에 직업상담사 선생님들의 처우 및 신분안정에 대한 부분은 열악하기에 그지없다.
31개 시·군의 근무형태를 살펴보면 직영(직접운영)이 15개, 위탁운영이 16개로 운영되고 있는데, 상대적으로 위탁보다는 직영(공무직, 무기계약직 전환)을 선호해 신분안정에 대한 기대가 높다고 볼 수 있다. 시대적인 상황 및 흐름을 감안하면 직영체제로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지만 시·군의 여건 및 상황을 감안해 자치단체장의 의지와 노력이 반영돼야 한다고 생각된다. 직업상담사 선생님들의 효율적인 업무추진을 위해서는 몇 가지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과 과제들이 있다.
첫째, 취업 실적관리 전산 시스템의 개선이다. 현재 고용부의 공식플랫폼인 워크넷을 사용해 실적관리(전산입력)를 하는데, 최소한 광역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사이트(경기도 잡아바)와의 연계시스템도 중요하고, 더불어 직업상담사 선생님들의 가장 큰 고민인 취업실적에 대한 부분을 본인 취업과 알선 취업 모두 실적으로 처리 인정해주는 것으로 보완돼야 한다. 실적위주의 단순숫자로 평가되는 지금의 성과시스템에서 본질적이고 효율적인 실적관리를 위한 심도있는 검토와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근무환경 개선 및 여건 조성이 반드시 필요해 보인다. 별도의 독립공간이 없어서 취업상담, 알선 등의 업무를 처리하기 곤란한 장소 및 위치(민원실 등)에서 근무하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직업특성상 전문적인 직무교육(심리치료 등), 감정노동으로 인한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정기적인 힐링서비스(워크숍), 사기진작 및 인센티브를 위해 도지사 표창 등 시상제도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셋째, 경기도를 비롯해 시·군 직업상담사 선생들의 업무추진 및 관리에 대한 매뉴얼이나 지침이 없다 보니, 최소한의 가이드라인, 권고사항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해 보인다. 도민들과 현장에서 직접적인 만남과 접촉을 통해 일하는 직업상담사 선생님의 어려움과 고충들이 하루빨리 해결돼야 한다. 각자의 자리에서 즐겁고 행복한 분위기 속에서 소명의식을 가지고 능동적으로 일할 수 있는 공직사회의 모습을 살포시 눈감고 그려본다.
전철 경기도 일자리경제정책과 고용서비스팀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