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노조 "20만명 고용 대란 막을 회생안 수립돼야"

쌍용자동차 노조가 총고용 유지를 전제로 기업 정상화에 적극 동참하겠다는 입장을 냈다. 총 20만명의 노동자 일자리를 유지하는 회생안을 수립할 것도 촉구했다.

쌍용차노조는 16일 “노동자의 일방적 희생만을 강요해서는 안 된다는 총고용 정책에 변함이 없다”며 “기업 구성원인 노동자의 공헌을 인정하고, 정부 일자리 정책에 부합하는 회생안이 수립돼야 한다”고 밝혔다.

노조는 고용 대란을 막는 실효성 있는 정부의 대응도 주문했다.

노조는 “쌍용차의 법정관리는 직원 4천800명과 판매·정비, 1·2차 부품 협력업체 직원 등 총 20만 명의 노동자 생계가 달렸다”며 “노조가 회생절차 신청에도 반대하지 않은 이유는 매각을 통해 기업을 정상화하고 총고용을 유지하기 위해서였다. 재매각을 위해 이해 당사자들과 적극적으로 협력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노조는 특히 이번 법정관리가 2009년 ‘쌍용차사태’ 때와는 상황이 다르다는 점을 분명히 밝혔다.

노조 측은 “2009년 당시 정리해고 대상자 가운데 무급휴직자 포함 총 758명의 조합원이 아픔을 딛고 동료들과 함께 일하고 있다”며 “상생과 협력의 선진적 노사관계가 있기에 가능했고 앞으로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하는 노사문화”라고 설명했다.

이어 “법정관리를 놓고 2009년 총파업 투쟁을 연상하는 국민이 많다”며 “노조는 2009년 조합원 총회를 통해 금속노조를 탈퇴하고 기업노조로 전환해 작년까지 11년간 쟁의 없는 노사관계를 실천하는 등 과거의 아픔을 답습하지 않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평택=정정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