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TX-D 김포~부천 구축…도내 신규 광역철도망 대폭 확충

정부가 김포와 부천을 잇는 광역급행철도(GTX)-D 노선을 구축한다. 또 수도권 교통난 해소를 위해 도시철도 연장형 광역철도 및 신규 광역철도망도 대폭 확충한다.

국토교통부는 22일 수도권 서부권역의 교통 수요를 해결하기 위한 GTX-D 신설사업 등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안(2016∼2025년)을 발표했다.

계획안에 따르면 정부는 김포 장기에서 부천종합운동장을 잇는 구간에 GTX-D 노선을 신설한다. 계획안대로 노선이 신설되면 김포에서 부천까지 이동시간이 69분에서 15분으로 단축된다.

수도권 서부권역은 신도시 개발로 인구가 급증하고 있지만, 교통 여건이 상대적으로 열악해 신규 광역급행철도를 운영할 필요성이 제기돼왔다. 다만 4차 철도망 계획안에 담긴 노선은 김포∼부천 구간으로, 각 지자체가 건의한 노선과 비교해 대폭 축소됐다.

앞서 경기도는 김포에서 부천을 거쳐 서울 강남과 하남까지 이어지는 68.1㎞의 D 노선을 국토부에 제안했다. 또 인천시는 인천국제공항(영종)에서 출발해 청라ㆍ가정을 거쳐 김포ㆍ검단ㆍ계양에서 오는 노선과 부천에서 만나는 총 길이 110.27㎞의 ‘Y자 노선’을 제안했다. 수도권 서부권 각 지자체는 각각 자기 지역에 더 유리하게 경유지를 유치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여왔다.

하지만 4차 철도망 계획안에는 김포에서 부천까지만 노선이 반영돼, 서부권에서 GTX를 타고 강남과 하남까지 이동한다는 지자체 구상은 차질을 빚게 됐다.

국토부 관계자는 “Y자 형태로 노선을 계획하면 공항철도와 수요가 중복되고, 노선을 강남까지 연장하면 9호선과도 노선이 중첩되는 문제가 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와 함께 수도권 내 신규 광역철도망도 대폭 확충된다. 신도시 등 수도권 외곽의 주요 개발지역과 서울 간 이동 편의성 향상을 위해 도시철도 연장형 광역철도 및 신규 광역철도를 신설할 방침이다.

4차 철도망 계획안에는 수도권 광역철도 노선으로 별내선 연장(별내역∼별가람역), 분당선 연장(기흥∼오산), 인천 2호선 연장(인천 서구∼ 고양 일산서구), 송파하남선(오금∼하남시청), 위례삼동선(위례∼삼동), 일산선 연장(대화∼금릉), 강동하남남양주선(강동∼하남∼남양주) 등이 반영됐다.

또 대장홍대선(부천대장∼홍대입구), 위례과천선(복정∼정부과천청사), 신분당 서북부 연장(용산∼삼송), 신분당선(호매실∼봉담), 제2경인선(청학∼노온사), 신구로선(시흥대야∼목동), 고양은평선(새절∼고양시청), 용문~홍천 광역철도, 동탄~청주공항 광역철도 등도 신규사업으로 추진된다.

아울러 경부고속선(수색~금천구청ㆍ광명~평택), 서해선~경부고속선연결(평택연결선) 등 3개 고속철도와 일반철도인 평택부발선(평택~부발) 구축계획도 포함됐다.

한국교통연구원은 계획안대로 신규 광역철도가 건설되면 수도권 내 주요 지점을 30분 내로 이동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홍완식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