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K방역 성공신화 이어가려면

지난해 코로나19 발병 초기, 정부는 코로나 확산 억제에 성공하면서 ‘K 방역’의 우수성을 홍보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K 방역의 성공사례를 자랑했다. 당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해외 국가에 마스크, 진단키트도 지원해 줬다. 대한민국은 코로나에 잘 대처하고 있었고,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자긍심을 느낄 만 했다.

소상공인 등 서민들은 거리두기, 영업제한, 모임금지 등으로 고통을 받았다. 그래도 정부 지침을 따르는 것이 이 난국을 빨리 끝내는 길이라고 믿고 희생했다. 정부와 지자체가 지급한 재난지원금은 피해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하지만 위안이 됐다. 정부와 지자체가 재난지원금 지원을 안내하는 문자 메시지를 받고 그래도 ‘정부가 노력하고 있구나’하는 신뢰도 쌓였다. 그렇게 코로나 위기에 잘 대응하는 듯 보였다.

다국적 제약회사들이 잇따라 코로나 백신을 개발했다. 코로나19 사태는 방역과 함께 예방 접종을 해야하는 2라운드를 맞았다. 여기서부터 코로나 대응이 삐걱대고 있다.

백신 확보를 위한 대처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 국민들에게 신속히 백신을 맞춰 집단 면역을 형성해야 하지만 현실은 느림보 행보다. 국민들은 답답할 수밖에 없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은 21일 0시 기준 신규 1차 접종자는 13만228명으로 총 177만1천407명이 1차 접종을 받았고, 2차 신규 접종자는 11명으로, 총 6만597명이 2차 접종까지 완료했다고 밝혔다. 정부 발표로만 보면 순차적으로 잘 진행되고 있는 듯 하다.

그러나 현장에서 체감하는 것은 다르다. 제대로 백신 접종이 이뤄지고 있는 것인지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들이 많다. 75세 이상 접종이 실시되고 있는 가운데 당초 공지와는 다르게 시시각각 변경되는 접종 일정에 시민들이 불안해 하고 있다.

본보 취재 결과 처음 4월안에 접종이 가능하다고 안내했는데 지금은 6, 7월에나 백신 접종 순서가 돌아올 것이라는 답변이 나온다. 또 접종 일정이 미뤄졌다는 통보가 속속 이어지고 있다. 일선 지자체 공무원들은 접종 일정에 대해 ‘추후 안내하겠다’며 확답을 피하고 있다. 지자체 공무원들도 정부 일정을 정확히 모르는 눈치다. 국민 불안감이 고조될 수밖에 없는 이유다.

이런 상황에서 정치권은 부정적인 여론에 또 다시 언론이 가짜뉴스로 불안을 조장하고 있다고 치부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대처는 왠지 찜찜하다. 백신 확보량 등 현 상황을 투명하게 공개하면 오해나 억측은 사라진다. 정확한 사실을 알리면 된다. 백신 확보 계획에 차질이 있다면 이를 시인하고 공론화 하고 구체적으로 이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겠다고하면 오해는 사라진다. 솔직하게 밝히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하루빨리 대책을 마련하면 된다. 정부의 노력에 따라 K 방역은 후대에 신화로 남을 수 있는 기회가 있다.

이선호 지역사회부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