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교통공사가 민간위탁역(도급역)에서 일하는 비정규직 근로자의 고용안정 등을 위해 추진 중인 자회사 설립의 구체적인 윤곽이 드러났다. 교통공사의 자회사 설립은 업무의 전문성과 공공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천595억원의 생산유발효과 등 경제적 파급효과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교통공사 등에 따르면 교통공사는 최근 자회사 설립을 위한 출자타당성 검토 용역을 마무리했다. 이번 용역에서 교통공사가 자회사 설립을 위한 자본금 7억원을 모두 출자하더라도 지방공기업법 등이 정한 법인 출자 한도를 넘기지 않는 것으로 나왔다.
재무적 타당성 검토를 통해 나온 자회사 설립의 수익성 지수(PI)는 1.02다. PI는 투자 금액 대비 회수할 수 있는 금액의 비율로, 1보다 크면 경제성이 있어 투자할 가치가 있다고 본다.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 1천595억3천400만원, 부가가치유발효과 750억8천500만원, 고용유발효과 603명에 이른다.
교통공사는 현재 업무의 전문성과 공공성 등을 위해 자회사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다음달까지는 자회사 운영컨설팅 용역을 마무리하고 자회사 설립 안건의 이사회 의결도 추진할 계획이다. 이후 인천시의회 의결 및 인천시장 승인, 발기인 구성 및 정관 마련, 임원 선임 등을 거쳐 7월 말께 자회사 설립 등기와 8월 초께 사업자 등록 등을 마무리한다. 이들 절차를 모두 거친 자회사의 본격적인 업무개시 예정일은 10월 1일이다.
교통공사에서 자회사로 넘어갈 업무는 인천도시철도(지하철) 1호선 도급역 13곳과 월미바다열차 역 4곳의 역무·청소·시설 업무, 서울지하철 7호선 인천·부천 구간 역 7곳의 역무 업무와 11곳의 청소·시설 업무 등이다. 이들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자회사의 인력은 대표이사, 상임이사, 감사 등을 모두 포함해 356명이다. 이 중에는 도급역에서 비정규직 근로자로 일하며 고용불안 등에 시달려야 했던 역무·청소·시설 업무 직원 141명도 있다.
정희윤 교통공사 사장은 “자회사 설립으로 도급역 근로자의 고용이 안정되고 서울7호선 인천·부천 구간과 월미바다열차의 경영효율성 등이 올라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이어 “마지막까지 역량을 결집해 성공적이고 모범벅으로 자회사를 설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김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