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탄소 중립’ 대시민 홍보·캠페인 필요하다

최근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가장 뜨거운 이슈는 바로 ‘탄소 중립’이다. 탄소 중립은 기후변화의 심각성에 최근 코로나19라는 전염병까지 더해지면서 나온 새로운 글로벌 패러다임이다. 그동안엔 저탄소, 이상기후, 그린에너지, 그린뉴딜 같은 다양한 표현이 있었지만, 최근엔 ‘탄소 중립’이라는 단어가 자리잡았다.

탄소 중립은 누구나 이해하기 쉽지 않은 표현이다. 사전적 의미로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0’으로 만들자는 개념이다. 탄소에너지, 즉 석탄이나 석유 등의 사용을 줄이는 것은 물론 어쩔 수 없이 배출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대책을 세워 이산화탄소 총량을 중립 상태로 만든다는 뜻이다. 어려운 의미지만 우리 미래 세대를 위해, 생존을 위해선 모든 국민이 꼭 알아야 할 말이다.

지난해 말 문재인 대통령은 대한민국 탄소 중립 선언을 했다. 선언문엔 ‘올해 태어난 우리 아이들이 30대에 접어드는 2050년이면 한반도는 여름이 길어지고 겨울은 짧아질 것이며, 폭염과 열대야 같은 극한 기후가 더 많이 늘어날 것이다. 병해충 피해가 겹쳐 곡물 수확량은 크게 줄고 가축 키우는 일도 어려워질 것이다’라는 문구가 담겨 있다. 이 같은 암담한 미래를 바꾸려면 지금 모든 국민이 탄소 중립을 실천해야 한다.

300만 인구의 도시인 인천시는 이 같은 탄소 중립에 선두 주자다. 친환경 자원순환정책을 내세워 ‘환경특별시 인천’을 표방하고 있다. 친환경 자원순환정책은 단순히 오는 2025년 수도권매립지의 사용 종료를 이뤄내겠다는 뜻만이 아니다. 폐기물의 재사용·재활용을 확대해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는 순환경제를 만들겠다는 더 큰 뜻이 있다.

인천은 이미 수도권의 전력 공급을 위해 많은 화력발전소가 있고 여기서 나오는 이산화탄소, 즉 탄소배출량은 어마어마하다. 특히 아직도 석탄을 때 전력을 만드는 영흥화력발전소는 인천의 전체 탄소 배출량의 42%를 차지한다. 영흥화력발전소의 조기폐쇄가 시급한 이유다. 인천은 인천국제공항과 인천항을 기반으로 한 운수업과 제조업이 각각 10.4%와 27.6%로 산업의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이는 화석연료 소비가 높은 산업구조다. 또 수도권매립지에서도 폐기물의 매립·소각으로 인해 해마다 100만t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한다.

아직 인천이 탄소 중립으로 가는 길은 멀다. 인천시민 1인당 숲 면적은 수도권에서 가장 많은 10㎡에 육박하지만, 이는 뉴욕·파리·토론토 등 선진 주요 도시 평균(14㎡)에 비하면 낮은 수준이다. 인천 앞바다의 해양 쓰레기로 인한 탄소 흡수력 감소도 심각하다. 바다 쓰레기 때문에 식물 플랑크톤이 줄면 바다의 탄소 흡수력이 떨어진다. 현재 해양쓰레기의 대부분인 침적쓰레기 중 고작 8%만 수거가 이뤄지고 있다. 게다가 미세플라스틱 오염농도가 세계 2위다.

해양수산부와 환경부 등 중앙 정부가 해양쓰레기 수거 사업을 하지만 여전히 성과는 미비하다. 이제라도 인천시가 나서서 실효성 있는 대책을 세우고, 이를 실천해야 한다. 최근 추진 중인 옹진군 시·모도나 강화군의 갯벌 복원 사업, 소래습지생태공원의 육상화 방지를 위한 해수순환시스템 구축 등은 올바른 정책 방향이다.

이와 함께 인천시가 탄소 중립에 대한 시민 홍보 및 캠페인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시민 스스로 저탄소 생활방식을 갖는다면 그만큼 훌륭한 정책은 없을 것이다. 가까운 거리는 차보다는 자전거를 이용하는 분위기를 만들고 관련 인프라를 구축해주는 것 등이다. 1회 용품 쓰지않기 운동 등은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이민우 인천본사 정치부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