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양주작 김은성 대표 "전통주 제조 맥 잇는데 혼신"

가양주작 김은성
가양주작 김은성

“일본 출장중 들린 한 식당에서 식당 상호와 같은 직접 만든 술(사케)을 마셔보고 우리에게도 우리의 가양주가 있다고 생각해 전통주에 관심을 갖게 됐어요”

군포시 대야미동 전철4호선 대야미역 앞에서 전통 가양주의 맥을 이어가고 있는 ‘가양주작’ 김은성 대표(54)의 말이다.

가양주는 집에서 빚는 술을 말한다. 옛날엔 집집마다 맛과 향이 다른 특성 있는 술이 있었고 손님이 찾아오면 정을 담아 내오던 누룩으로 빚은 전통주다.

그가 처음부터 가양주에 관심을 보인 것은 아니다. 의료기기 유통사업을 하며 군포시 산본에 살던 그가 자녀교육과 일상생활을 위해 자연속의 대야미로 이사한 것이 계기가 되었고, 2018년부터 전통주 제조에 본격 나서게 됐다.

지역 내 둔대초등학교가 혁신학교로 지정되고 마을단위 공동체 등이 구성돼 학부모 10여명이 모인 전통주 동아리에서 시작한 것이 이젠 마을 사람들이 뜻을 모아 세운 마을기업이자 농업회사 법인 가양주작이 됐다.

김 대표는 “술도 음식이다. 음식을 가지고 장난치면 안 된다”며 “가양주작은 경기미와 우리밀 누룩을 사용하며 황토숙성실에서 3개월 이상 숙성시킨 기본에 충실한 술이다. 달지않고 드라이한 맛이 특징이다”고 설명했다.

가양주작이 빚은 술은 대한민국 주류대상을 차지하기도 했다. 가양주작에선 약주인 수암주와 수리산 막걸리, 증류주인 알로이를 제조 판매하고 있다.

가양주작에는 술을 빚는 양조장과 연구실, 마을주막 겸 까페 역할을 하는 공간이 있다.

김 대표는 “이곳은 때론 청년들의 예술전시 공간인 마을 캘러리로,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마을협동조합 모임 장소로, 맘마미아 푸드트럭, 산본공고 학생 아침식사용 주먹밥 제공을 위한 주방으로도 사용된다”고 말했다.

가양주작이 단순히 술만 제조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마을의 넉넉한 인심과 서로 공유하고 소통하며 하나가 되고 이것이 또 다른 인연으로 이어져 지역사회 참여 공간으로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김 대표 등은 군포시가 운영하는 도시농부학교, 평생학습원과 서울 노들텃밭 등에서 ‘우리 술 빚기’ 프로그램을 통해 가양주의 역사와 제조 방법 이론, 실습도 진행하며 보다 나은 전통주의 맥을 이어가고 있다.

김 대표는 “가양주작이 전통주로서 특색있고 몸에 해롭지 않는 맛있는 술, 도시화로 지친 사람들의 휴식공간으로 자리매김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군포=윤덕흥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