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실적 악화로 휘청이던 한국마사회에 악재가 겹치고 있다.
정부 평가에서 공기업 최하위를 차지한 데 이어 갑질 파문을 일으킨 기관장마저 검찰에 넘겨지면서다.
경기남부경찰청 강력범죄수사대는 24일 강요미수 및 업무방해 혐의로 김우남 한국마사회장을 검찰에 불구속 송치했다.
여당 3선 국회의원을 지낸 김 회장은 취임 직후인 지난 3월, 의원 시절 보좌관을 비서실장으로 특채할 것을 지시했다. 당시 인사담당 직원은 국민권익위원회 사규 부패영향평가 결과에 따라 기관장 재량 임의 채용이 어렵다고 전했으나, 김 회장은 폭언과 욕설을 쏟아내며 채용을 강요한 것으로 전해졌다.
논란이 커지자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4월 이례적으로 김 회장에 대한 감찰을 지시했다. 이후 마사회 측은 김 회장이 폭언에 대해 사과했고 부정채용은 사실이 아니라고 주장했지만, 마사회 노조는 물론 정부와 경찰까지 그의 채용 시도가 부적절했다고 보고 있다.
마사회는 이미 코로나19 영향으로 직격탄을 맞은 상태였다. 지난 2019년 당기순이익 1천449억원을 올렸지만, 지난해 경마 중단으로 영업에 차질을 빚으면서 당기순손실 4천368억원을 기록했다.
여기에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지난 18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2020년 공공기관 경영실적 평가결과’에서 공기업 36곳 중 유일하게 E등급(아주 미흡)을 받았다. 부동산 투기 사태로 전 국민의 질타를 받고 있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보다 낮은 점수다. LH는 마사회보다 한 단계 위인 D등급(미흡)을 받았다.
마사회는 윤리경영 측면의 문제로 전년도 평가 C등급에서 2단계 하락했다.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를 조작했다는 감사원의 지적도 실적 평가에 영향을 줬다. 감사원은 올해 초 마사회가 지난 2016~2018년 고객만족도 조사 표본에 직원 가족 등을 집어넣도록 하는 지침을 전국 각 지사에 전달하고, 부정행위에 동원된 고객에게 기념품까지 지급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마사회는 내년도 경상경비를 삭감당할 예정이며, 임직원은 올해 성과급을 받을 수 없게 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청와대 감찰 결과를 넘겨받아 김 회장에 대한 조치를 검토 중이다. 농식품부 장관은 관련 규정에 따라 마사회장에 대한 해임을 권고 또는 건의할 수 있는데, 대통령까지 나서 문제를 삼은 탓에 김 회장의 해임으로 기우는 모양새다.
한국마사회 관계자는 “김 회장은 아직 직무에서 배제되지 않았으나, 검찰 송치에 따른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며 “경영실적 평가결과에 따른 개선방안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장희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