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시가 조선 최초 임진강 거북선 복원에 나선 가운데 막바지 단계인 실시설계안이 최종 확정되는 대로 내년 1월 첫 모형 공개에 나선다.
이순신장군 거북선보다 180년 앞선 임진강 거북선이 파주 임진나루에 등장한 이후 608년 만이어서 국내 거북선 연구ㆍ활용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주목된다.
5일 파주시에 따르면 역사학자와 조선공학자 등 관련 전문가들의 철저한 고증을 받고 있는 조선 최초 임진강 거북선 실시설계안(용역사 비영리법인인 중소조선연구원)이 이달초 마무리된다.
시는 이에 따라 임진강 거북선 복원자문위를 거쳐 오는 11월 연구발표회와 함께 기본도ㆍ3D모델링을 통한 첫 모형 제작에 들어간다.
이와 함께 임진강 거북선 콘텐츠 AR(가상현실) 시스템도 구축한다.
김영기 문화정책팀장은 “기초와 기본, 구조와 상세 설계 등 4단계로 나눠 진행 중인 실시설계 안이 완료되면 연내 최종 보고회를 거쳐 내년 1월 안으로 첫 모형을 공개한다”며 “관련 특허권과 인터넷 도메인 등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최종환 시장은 “철저한 역사고증을 통해 우리나라 대표 역사ㆍ문화브랜드인 거북선 원형을 최대한 실록에 기록된 원형에 가깝게 복원하겠다”며 “차별화된 세계 정상급 문화ㆍ관광상품 활용에 만전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2019년 경기도 정책공모대결인 ‘경기 First’ 에서 20억원을 확보한 조선최초 임진강 거북선은 ‘조선왕조실록’ 태종편에 등장한다. 태종이 1413년 2월 세자와 함께 파주 임진도(임진나루)를 지나다 거북선과 왜선이 싸우는 것을 목격했다고 기록됐다.
파주=김요섭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