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시, 감일동 고분군 등 4곳 국가문화재 지정 추진

하남시가 광주향교 대성전 등 지역 내 중요 비지정 문화재 4곳에 대한 국가문화재 지정을 추진한다. 사진은 광주향교 전경. 하남시 제공
하남시가 광주향교 대성전 등 지역 내 중요 비지정 문화재 4곳에 대한 국가문화재 지정을 추진한다. 사진은 광주향교 전경. 하남시 제공

하남시가 감일동 백제 초기 묘군 등 지역 내 중요 비지정 문화재 4곳의 국가문화재 지정을 추진한다.

15일 하남시에 따르면 시가 신규 국가문화재 지정을 받기 위해 준비 중인 곳은 감일동 백제초기(한성ㆍ위례성) 대규모 횡혈식석실 묘군, 광주향교 대성전과 목조 건축물, 교산동 건물지, 교산신도시 내 천왕사지(상사창동 340-2) 일원 등 4곳이다.

시는 감일동 고분군과 광주향교 건물지 및 천왕사지 등 3곳은 국가사적지, 광주향교 대성전 등은 국가보물로 지정을 받을 방침이다.

특히 시는 광주향교의 경우 경기도문화재(제13호)로 지정됐지만 건물지와 대성전 등은 문화적 가치가 높은데다 교산신도시 개발을 앞두고 있어 문화재 보존환경 변화에 대비한 별도의 보존방안이 필요하다고 판단, 국가문화재 지정을 추진 중이다.

시는 이에 따라 올해 본예산에 문화재 지정에 필요한 문화재 지정가치조사 연구용역(학술대회)비용 2억원을 편성했다.

이르면 연말이나 내년 상반기 용역을 진행, 그 결과를 토대로 국가문화재 지정을 신청할 계획이다.

앞서 지난 2018년 3월 감일 공공주택지구에서 백제 초기(4세기 중반) 것으로 추정되는 최고위층 무덤인 횡혈식 석실묘(51기)가 무더기로 발견돼 관심을 끌었다.

상사창동에는 초기 백제때 지어진 천왕사지(天王寺址)가 있다.

천왕사는 조선시대까지 사용해왔다는 게 사료를 통해 확인됐다. 규모 측면에서도 3만~6만㎡에 이르는 큰 사찰이다.

게다가 이 사찰(터)에서 사용한 구멍이 뚫린 사리공, 대형 석재(가로160㎝X세로140㎝)도 발견됐다.

시 관계자는 “연구 용역을 통해 비지정문화재 중 지정가치가 있는 문화재로 지정받을 수 있도록 준비에 만전을 기하겠다”며 “용역 이후 경기도를 경유, 사적과 보물로 국가지정을 신청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하남지역에는 미사 선사유적지 등 7곳의 국가지정 문화재와 광주향교 등 7곳의 경기도 지정 문화재가 있다.

하남=강영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