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지역 기업들이 친환경 그린사업 전환 노력과 참여에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안산지역 기업의 경우 에너지 다소비 제조 기업이 대부분으로 에너지 절감 인식이 낮고 안산형 그린뉴딜에 대한 관심도가 적은 것이 원인으로 분석됐다.
이같은 결과는 안산시의회 의원연구단체 ‘Green & Clean 21’이 최근 개최한 그린산단 조성 방안 연구용역 최종 보고회에서 제기됐다.
4일 시의회에 따르면 이번 보고회에는 의원연구단체 소속 강광주 의원 등과 연구단체 자문단 그리고 안산환경재단 지속가능정책실을 비롯, 안산시 관계 공무원 등이 참석했다.
이번 연구는 수요 기업 중심의 그린산업 전환 여건 및 실태에 대한 조사 분석 연구를 통해 안산스마트허브의 그린산업단지 기반 조성 정책 수립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으로 6개월 간 안산스마트허브와 안산 지역 기업 관련 환경 분석과 설문 조사 분석 등이 실시됐다.
대책으로는 ▲수요자 주도의 재생에너지 확산체계 구축 ▲신재생에너지 참여 확대를 위한 인허가 과정 개선 및 인센티브 제공 ▲공공기관 주도의 선도적 RE100 참여 유도 ▲신재생 유망분야 R&D 지원 강화 ▲안산형 신재생에너지 사업 홍보 등이 제시됐다.
보고회에서는 용역 결과에 따라 탄소 저감을 목표로 하는 그린뉴딜 정책이 지역에 성공적으로 안착하려면 신재생 에너지 사용의 비율을 높이는 것뿐 아니라 에너지 사용량 자체를 줄이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이 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에너지 정책 또한 공급자가 아닌 사용자 위주로 전환돼야 더욱 실효성이 높을 것이라는 의견도 나왔다. 참석자들은 공공 영역에서 그린산업에 민간의 참여 동력을 이끌어낼 방법을 보고서에 담을 필요가 있다고 주문하기도 했다.
강광주 의원은 “연구 용역에서 확인된 것처럼 정책의 성공 여부는 수요 주체들의 참여도가 얼마나 높으냐에 달려있다”며 “의원연구단체의 연구 과제 달성을 위한 자료가 완성된 만큼 그동안의 활동 사항을 정리, 의미 있는 정책을 도출할 수 있게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안산=구재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