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흥 배곧신도시와 인천 송도국제도시를 잇는 배곧대교 건설을 놓고 배곧신도시 주민들과 인천지역 환경단체가 갈등을 빚고 있다.
14일 시흥시에 따르면 송도습지보호지역·람사르습지보호대책위는 최근 성명서를 통해 “시흥시는 떼쓰기를 중단하고 한강유역환경청은 전략환경영향평가(본안)를 부동의하고, 인천시는 반대입장을 분명히 하라”고 주장했다.
이에 맞서 배곧신도시 주민들로 구성된 배곧총연합회는 “환경단체가 객관적 근거 없이 비판하고 있다. 떼쓰기를 멈춰야 한다. 배곧대교 반대를 주장하려면 구체적인 근거를 제시하라. 제3경인고속도로 극심한 정체로 매일 차량 수천대가 공회전하며 내뿜는 배기가스에 대한 대책을 제시하라”고 요구했다.
시흥시도 공법을 변경하는 등 습지훼손 최소화를 위해 노력했으며, 배곧대교 건설로 인한 경제적 가치가 높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배곧대교 건설로 인한 습지훼손 최소화를 위해 교각수를 대폭 줄이는 공법으로 변경, 실제 습지 훼손면적(3천403㎡→167㎡)을 줄였고 조류와 갯벌 보호를 위해 바닥조명으로 변경했다”며 “비점오염방지시설 설치 등 습지훼손에 대한 책임과 보존을 위해 노력을 기울였다”고 밝혔다.
이어 “람사르협약에서 습지를 축소하면 새로운 보호지역을 설정해야 한다는 조항에 따라 실제 훼손 면적의 1만배인 50만평을 후보지로 결정했다. 국제협약 무시가 절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배곧대교 사업시행자는 “환경단체 우려도 충분히 이해한다. 훼손 면적의 크고 작음에 상관없이 배곧대교 건설에 따른 습지훼손 책임과 의무를 다하기 위해 대체습지보호지역을 비롯해 기존 습지보전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시흥=김형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