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흥 배곧대교 건설사업 환경평가 재심의에 반발 확산

2. 20211209_올댓송도 청와대 1인 시위_3 (1)
시흥 배곧대교 건설사업이 환경영향평가 결과 ‘재검토’ 의견으로 사업 추진에 적색등이 켜졌다. 한 주민이 청와대 앞에서 1인시위를 벌이고 있다.  인천 송도 주민 제공

시흥 배곧대교 건설사업이 환경영향평가 결과 ‘재검토’ 의견으로 사업 추진에 적신호가 켜지면서 지역사회 반발이 확산하고 있다.

시흥시는 환경당국에 대해 행정심판을 준비 중이고, 주민들도 청와대 1인시위 등을 벌이는 등 반발 수위도 높아지고 있다.

29일 시흥시와 배곧대교㈜, 주민 등에 따르면 주민단체인 배곧총연합회는 최근 한강유역환경청(한강청)의 환경영향평가 결과 발표 전 습지보호지역 내 교량인 을숙도대교 등의 환경영향평가 결과, 영향이 미미한 것으로 나왔는데도 배곧대교만 환경피해가 클 것으로 판단한 사유에 대해 한강청에 질의했다.

이와 함께 저어새 서식지인 남동유수지 바로 옆에 송도4교(습지보호지역)가 있는데도 매년 개체수가 늘고 있는데 배곧대교만 서식지 감소 등으로 판단한 사유에 대해서도 따졌다. 사정은 이런데도 한강청은 별다른 답변도 없이 부동의 처리했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이와 함께 시흥ㆍ인천 전력구공사 관련 고압전류는 수공간 등에서 전도율이 높아 습지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데도 한강청은 승인했다며 이중잣대라고 지적하고 있다. 한강청이 습지훼손에 따른 50만평의 추가 습지보호지역 지정계획은 대안이 될 수 없다면서, 기존 습지보호지역(훼손 약 50평, 1만분의 1)은 보존가치가 높은만큼 이곳을 통과하지 않는 노선으로 재검토해야 한다는 지적도 어불성설이라는 주장이다.

송도국제도시 주민들도 “한강청이 주민들의 갈등조정협의회 요구를 묵살하는 등 소극행정을 펼치고 있다”며 청와대 앞 1인시위를 진행 중이다.

배곧대교㈜ 관계자는 “의견은 논리적으로 제시해야 하는데 한강청은 막연하게 ‘예상된다’ 등의 의견을 제시, 수용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시흥시 관계자는 “현재 한강청 재검토 의견에 대해 사업자와 협의, 행정심판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한강청 관계자는 “환경영향평가는 사업부지에 대한 예측을 협의하는 과정이다. 람사르습지 훼손문제 관련 전문가 검토의견 등을 충분히 거쳐 결정됐다”고 해명했다.

시흥=김형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