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면서 참 많은 것들을 기념한다. 부모님 생신은 기본이고 결혼일자와 크리스마스
핼러윈 등등 그 날짜에 의미를 부여하면서 말이다. 어떤 사람은 그 날짜를 기념하며 은행 계좌 비밀번호로 사용하기도 하고
또 어떤 사람은 핸드폰에 등록된 카드의 결제 번호로 등록하기도 한다. 그만큼 누군가에게 그날을 기념하는 것은 삶을 영위하면서 의미와 동기부여를 하며 새로운 동력을 마련하는 것이다.
▶1월20일. 누군가에게는 ‘생일’일 수도 있고
‘결혼기념일’일 수도 있겠다. 그런데 2022년을 사는 군상에게는 ‘우한 바이러스’ 또는 ‘코로나19’를 떠오르게 하는 날짜일 확률이 높다고 하겠다. 2020년 1월20일 구정 연휴로 기억된다. 어머니 집에서 형과 우리 가족이 이른 저녁을 먹으며 티비를 보다가 ‘국내 첫 우한 바이러스 환자 발생’이라는 뉴스 바를 접했다. “우한 바이러스가 뭐지?” 라는 반응들. 그리고 금방 잊혀질 것이라고 믿고 오랜만에 가족 간의 정을 느끼고 일상으로 돌아왔다. 그런데 상황이 심상치 않게 전개됐다. 첫 환자 발생 6일만에 고양시 거주 50대 남성의 감염사실이 확인되면서 그렇게 코로나19 공포는 경기도 전역으로 퍼져 나갔다.
▶그리고 정확하게 2년의 시간이 흘렀다. 우리는 1월20일에 의미를 부여하기 시작했다. 이 기간동안 경기도내에서 21만3천160명(누적)이 코로나19에 감염됐고
0.9%에 해당하는 2천52명이 감염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무수히 많은 자영업자들이 피눈물을 흘렸다. 마스크는 이제 매일매일 갈아 입는 옷과 같은 존재가 됐고
QR코드는 백신을 맞았다고 증명하는 또 하나의 신분증이 되고 말았다. 사람들은 이 지루한 감염병과 싸우면서 서로를 불신하기 시작했다. 정부의 제각각인 방역 지침이 내려오면 식당이나 카페에서 적정 인원수를 지키고 있는 지를 점검하며 신고하기도 하고
백신을 맞지 않은 사람이 행여 곁에 들어오면 벌레 보듯 대하거나 아예 쫓아버리기도 한다. 그렇게 ‘불신의 시대’를 가져온 날로 기념되는 날짜도 1월20일이다.
▶역사적으로 인간은 위기를 극복해왔다. 그 위기를 이겨내면서 나름대로 의미를 부여해왔다. 때로는 ‘원년’이라는 단어를 쓰기도 하고
‘○○의 날’을 지정하기도 한다. 2022년 1월20일. 우리는 이날을 기념해야 한다. ‘반격의 날’로 말이다. 2년간 때로는 일방적으로 당하기도 했지만
어떤 의미에서는 반격을 위한 무기를 만들기 위한 시간을 벌었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이제 감염병의 그늘에서 벗어날 시간이 왔다. 2차 백신까지 접종한 혹자는 이렇게 말한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나에게 온 지도 모르고 사라졌을 수도 있다”고. 인간은 내성의 동물이다. 싸우고 부딪히면서 강해지는 것이다. 올해 1월20일(현지 시간) 영국은 다시 마스크를 벗고 백신패스를 없애기로 했다. 자가격리도 폐지한단다. 싸워 이기겠다는 의지가 보인다.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나. 강제한다고 이길 수 있는 적이 아님을 명심해야 한다.
경기일보 뉴스 댓글은 이용자 여러분들의 자유로운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건전한 여론 형성과 원활한 이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사항은 삭제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경기일보 댓글 삭제 기준
1. 기사 내용이나 주제와 무관한 글
2. 특정 기관이나 상품을 광고·홍보하기 위한 글
3. 불량한, 또는 저속한 언어를 사용한 글
4. 타인에 대한 모욕, 비방, 비난 등이 포함된 글
5. 읽는 이로 하여금 수치심, 공포감, 혐오감 등을 느끼게 하는 글
6. 타인을 사칭하거나 아이디 도용, 차용 등 개인정보와 사생활을 침해한 글
위의 내용에 명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불법적인 내용이거나 공익에 반하는 경우,
작성자의 동의없이 선 삭제조치 됩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