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코로나19 확진자 급증으로 중대본에 보건소 인력 347명 지원 요청

인천의 코로나19 확진자 급증으로 기초자치단체 공무원들의 업무 부담이 심화(경기일보 16일자 1면)하는 가운데 인천시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300여명의 인력 지원을 요청하기로 했다.

17일 시에 따르면 최근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우세종화에 따라 인천의 10개 군·구 보건소에 315명, 시 감염병관리과에 32명 등 총 347명의 인력 지원을 중대본에 요청할 계획이다.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역학조사 등 원활한 방역체계를 위해 보건소 인력 1명당 코로나19 확진자 12명을 전담해야 한다고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인천에선 보건소 인력 1명이 확진자 40명 이상을 전담하고 있는 상태다.

특히 지난 9일 재택치료 방식이 바뀌면서 방역당국은 확진자로부터 자기기입식 조사서를 받아 백신 접종 상태와 동거가족 접촉 여부 등에 대한 역학조사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인천 내 조사서의 회신율은 60%에 머무르고 있다. 이에 각 군·구 보건소 직원들은 조사서를 내지 않은 확진자에게 직접 연락해 역학조사를 하고 있지만, 인력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시는 미추홀·연수·남동·부평·서구 보건소에 각각 50명, 계양·중구에 각각 20명, 동구·강화군에 각각 10명, 옹진군에 5명 등의 인력을 충원해 확진자의 동거가족 등 접촉자를 관리하고 역학조사의 공백을 메울 방침이다.

이와 함께 시는 감염병관리과 내에도 병상관리팀 12명, 재택치료태스크포스(TF) 7명, 국립중앙의료원(NMC) 병상배정반 13명을 추가로 지원해 달라고 요청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업무 공백이 발생하고 있는 재택치료자의 의료기관 지정 및 치료비 지급, 전담병상 확충 등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다.

시 관계자는 “10개 군·구 보건소의 인력이 이미 한계에 직면했고, 앞으로 더 많은 확진자가 나오면 모니터링 등이 더 이상 불가능한 지경까지 이를 것”이라고 했다. 이어 “재택치료 지침을 안내하는 등의 전담 인력 역시 부족한 상태”라며 “이를 위한 보건소 인력을 확진자 20명당 1명으로 계산해 지원을 요청하는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했다.

김보람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