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그곳&] "그냥 싹둑" 마구잡이 가지치기에 죽는 도심 가로수

9일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 도로변 가로수들이 과도한 가지치기 작업으로 인해 앙상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윤원규기자
9일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 도로변 가로수들이 과도한 가지치기 작업으로 인해 앙상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윤원규기자

봄을 앞두고 구체적인 기준 없이 과도한 가지치기 작업이 성행하며 경기도내 나무 생육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오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의 금빛초등학교. 학교 앞 200m 남짓의 도로 옆 인도에는 10m 높이의 플라타너스 나무 약 20그루가 앙상한 몸통만 드러내고 있었다. 굵은 가지들만 최소한으로 남겨둔 채 잔가지들은 모두 잘린 나무들의 모습은 마치 ‘닭발’을 연상시켰다.

이날 오후 부천시 약대동의 테크노파크 사거리도 상황은 마찬가지. 사거리를 빼곡히 수놓은 플라타너스 나무 약 50그루도 들쭉날쭉 가지치기된 상태였다. 박영현씨(32·가명)는 "매년 이맘때면 가지치기된 나무들은 흉물스러워 보일 뿐 아니라 불쌍할 정도"라며 “지자체는 과도하게 가지 자르는 방식을 벗어나 근본적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 같다"고 꼬집었다.

가로수 관리와 관련된 규정은 산림청에서 발행한 ‘가로수 수형관리 매뉴얼’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해당 매뉴얼에선 가지치기 방식을 그림 등으로 소개하는 수준에 그칠 뿐, 얼마나 잘라야 하는지 등의 구체적 기준은 제시되지 않고 있다. 지자체도 조례를 마련하고 있지만, 이 역시 가지치기 방식은 포괄적으로 소개돼 있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지자체는 나무 생육에 도움이 안 되는 방식으로 가지치기 작업에 나서고 있다. 성남시와 부천시의 경우 조경업체 공사 발주를 통해 가지치기 작업을 진행한다. 공사 초기에 조경업체와 협의 후 시범 수형을 만들지만, 정작 현장작업은 조경업체에서 선정된 대리인에게 온전히 맡겨진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잘못된 방법으로 나무가 잘리더라도 이를 제재할 수단은 마땅히 없는 게 현실이다.

전문가들은 과도한 가지치기가 나무의 활력 감소와 성장패턴 변화 등을 초래해 병충해 감염률과 고사율을 높인다고 지적한다. 산림청에 따르면 지난 2018년부터 2020년까지 과도한 가지치기로 고사한 가로수는 전국 평균 1만6천95그루에 달한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 2월 산림청은 '2022년 가로수 조성·관리 계획'을 발표했는데, 해당 계획에는 ▲가로수 관련 지침 구체화 ▲조성·관리 전문성 강화 ▲평가지표 마련 등의 내용이 포함돼 있다.

최진우 가로수를 아끼는 사람들 대표는 “과도한 가지치기는 한 번이면 나무 생육에 지장이 없을지 몰라도 지속되면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며 “지자체는 행정편의주의에서 벗어나 가지치기 방식에 대한 구체적 매뉴얼을 정립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산림청 관계자는 “매뉴얼이 구체적이지 않아 가지가 지나치게 많이 잘리는 등 혼선을 인지하고 있다”며 “가로수 조성·관리 계획에 맞춰 매뉴얼을 구체화한 뒤 각 지자체 지침에 포함시켜 실행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김정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