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악은 궁정이나 관아 또는 각 지방의 풍류객들이 음악을 즐기려고 모였던 풍류방에서 연주하던 음악을 가리킨다. 대풍류란 즐기기 위한 감상 위주의 관악기 연주라는 뜻으로 궁중음악용 향피리나 정악대금과 같은 관악기가 중심인 음악을 말한다. 기본 대풍류는 향피리 2, 대금, 해금, 장구, 북으로 편성해 있다.
주요 연주곡목으로는 상영산, 중영산, 세영산, 가락털이, 삼현도드리, 염불도드리, 타령, 군악 등의 8곡으로 구성된 표정만방지곡이 있으나, 삼현도드리, 염불도드리, 타령은 무용반주 음악으로 사용하고 있다.
대풍류는 씩씩하고 활기찬 느낌을 주는 전통음악으로 가치가 크지만, 현재는 넓은 무대에서 음악이 연출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소규모 연주는 없어지고 있다.예능보유자인 진철호 선생은 故 김정식 선생에게서 서울의 경제와 다른 인천 지역의 향제 대금정악을 배워 전승하고 있다.
문화재청 제공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