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가 행정구나 광역동 등 대동제로의 행정체제 개편을 추진한다.
29일 김포시에 따르면 시는 내년 50만 대도시 진입을 앞둔 가운데, 교육·교통·환경분야에서 빠른 성장이 계속되면서 행정구나 대동제 등을 포함한 현행 읍·면·동체제를 바꾸기로 했다.
최근 관련 용역 착수보고에 들어간 시의 행정체제 개편은 기초 현황조사와 설문조사 및 의견수렴, 모델설계와 설명회 및 공청회, 타당성 검토 등을 거쳐 오는 10월 마무리된다.
해당 용역은 국책연구기관인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이 맡았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은 “부천의 광역동 모델과 남양주의 중심동 모델 등을 검토, 김포 특성과 상황 등에 최적의 모델을 개발·설계하겠다”고 설명했다.
김포시는 특성상 인구밀도와 생활기반시설 편차가 크고 동서간 긴 지형이어서 행정서비스 이용에 불편, 시청에 각종 민원업무 부하로 인한 양질의 행정과 복지서비스 제공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와 함께 한강신도시 주민들을 중심으로 행정구 설치 등 하부 행정기관 개편에 대한 요구가 확산되고 있으며, 인구 6만 이상을 관할하는 행정동이 있는 등 현행 행정체제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시는 이에 따라 용역을 통해 행정구와 대동제 등을 포함한 기존 사례를 비교·검토, 현행 읍·면·동 행정체제 분석과 공론화과정 등을 통해 합리적인 행정체제 개편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은 관계 부처에 행정체제 개편안을 제시한다.
현행 지방자치법은 인구 50만 이상 대도시는 행정구 설치가 가능하고 대동제를 선택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시는 읍·면·동 관할과 조직, 기능 등을 전면 개편해 주민편익과 행정효율 등을 제고하고 주민자치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행정체제 개편방향은 수준 높은 원스톱 행정서비스를 구현하고 청사시설과 인력운영 합리화를 꾀할 계획”이라며 “읍·면·동의 주민자치 권한을 확대한 생활자치를 구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