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문화유산
불교의식에 사용하는 노래를 범패라 하고, 춤을 작법, 또는 작법무라 한다.
인천에서의 범패와 작법무는 조선 태조 대왕(1398)이 팔만대장경을 강화 선원사에서 지천사로 옮길 때 이운의식으로 행하면서 처음 행해졌다.
그 후 면면히 이어오다가 1928년부터 약사사, 묘향사, 해광사 등지에서 법회에 범패와 작법무인 바라춤, 나비춤, 법고춤 등이 추어졌다.
바라춤은 일체의 모든 마장을 끊고 부처님의 정법을 찬탄하는 무용으로 작법무라 한다. 인천 바다의 기상을 담아 힘차고 우렁차며 선이 굵은 것이 특징이며, 호국영령을 위해서도 봉행한 점이 타 지역과 다르다. 구양사에서는 능화스님을 중심으로 매년 현충재를 봉행하며 전승지도에 힘쓰고 있다.
문화재청 제공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