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찰청이 전국 17개 시·도의 18개 경찰청(경기 남·북부) 중 고위직 승진인사 비율이 최하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경찰청은 관할인구만 300만명에 달하며, 대한민국 관문인 항만과 공항의 치안까지 책임져야 하지만 승진인사에서 홀대받고 있어 격에 맞는 인사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1일 인천경찰청이 치안정감급으로 격상(2014년)한 이후인 2015~2022년의 경찰청 및 18개 시·도경찰청의 총경 이상 승진 인사를 분석한 결과, 인천경찰청은 인구 규모가 비슷한 부산경찰청에 비해 턱없이 적은 수가 승진한 것은 물론 인구 규모가 적은 대구보다도 홀대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의 꽃’ 총경의 경우 지난 8년간 전국 총 712명의 승진자 중 인천청의 승진자는 23명에 그친다. 같은 기간 서울청에서는 222명이 승진했고, 인천과 인구 규모가 비슷한 부산청의 경우 배에 달하는 45명이 승진했다. 인천청은 관할면적이 1천63㎢에 달해 부산보다 300㎢가량 넓지만, 승진에는 번번이 밀리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인천보다 인구수가 60만명 가량 적고, 청장이 치안감급인 대구경찰청은 이 기간 27명이 승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처럼 지난 8년간 23명의 총경을 배출한 치안감급 전북경찰청의 관할인구는 고작 178만6천여명이다.
‘경찰의 별’ 경무관 승진자에서는 홀대 현상이 더욱 두드러진다. 인천경찰청은 지난 8년간 경무관을 단 2명 밖에 배출하지 못했다. 지난 8년 간 전국 경무관 승진자는 168명이다.
이 같은 경무관 승진자 수는 7개 특광역시 경찰청 중 6위에 그치는 수치다. 전국 18개 경찰청 중 인천경찰청 보다 적은 경무관을 배출한 곳은 청장이 치안감급인 경기북부·경북·대전·제주와 경무관급인 세종청 등 5곳 뿐이다.
이 밖에도 인천에서는 올해를 제외한 지난 7년간 75명의 치안감 승진자가 나올 동안 단 1명의 치안감 승진자도 나오지 않았다. 인천청의 경우 치안감 계급이 없는 만큼 치안정감 역시 배출하지 못했다.
이웅혁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는 “한국경찰의 현주소는 정치적 연결고리나 정권실세와의 인연이 있으면 치안수요나 객관적 업무량, 업무강도와 무관하게 승진이 이뤄지는 경향이 있다”며 “인천처럼 여러 치안수요가 많은 곳이 오히려 승진자가 적은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경찰청 관계자는 “승진위원회에서 대상자들의 역량이나 적성 등을 전반적으로 판단해서 하는 것이기 때문에 결과론적으로 특정 지역이 적어 보이는 것일 수 있다”고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