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능평리 삼거리·여주 보통리 사거리 등 도내 곳곳 도로교통公, 실태조사… 노면표시 등 개선 지적에도 방치 5년간 사고 245건 달해… 경찰청 “일선署 협조, 점검”
경기지역 일부 도로들이 잘못된 설계로 인해 역주행 우려가 높은 데다 관리마저 부실해 운전자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오전 1시 광주시 오포읍 능평리 857의 한 삼거리. 삼거리 중 한 쪽 도로는 고가도로에서 내려오는 차량들만 이용 가능한 일방통행 도로였다. 도로 한 켠엔 동그란 진입금지 표지판 2개가 가드레일 바깥으로 설치돼 있었지만, 어둠이 깔리자 이들 표지판은 육안으로 식별이 어려워졌다. 무엇보다 반대 쪽에서 나오는 차량들은 양 갈래 길 앞의 야광 좌회전 표시가 되레 역주행 방향을 가리키고 있어 역주행 차선 진입에 무방비였다.
같은 날 오후 2시 여주시 대신면 보통리 109-3의 한 사거리. 낮 시간대임에도 차선을 혼동한 운전자들의 역주행은 계속됐다. 좌회전 신호를 받고 출발한 1t 트럭 2대는 차선을 헷갈려 중앙선을 침범했고, 차량 운전자들은 황급히 핸들을 꺾었다. 만약 반대 방향에서 차량이 주행 중이었다면, 교통사고로 이어질 위험성이 큰 상황이었다. 운전자 김홍식씨(60)는 “이 도로는 내리막길로 경사 져 있기 때문에 반대차선의 정지선도 잘 안 보여 운전자 입장에선 혼란스럽다”고 지적했다.
이 사거리는 양 교차로의 도로 면적이 넓어 좌회전하는 차량들이 반대차선을 침범하기 쉬운 구조이다. 더욱이 지난 2015년 한국도로교통공단 등의 실태조사에서도 역주행 사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 받은 바 있다. 조사 당시, 시선 유도봉 설치 등의 개선 요청을 받았지만, 현장엔 차량 유도선조차 설치돼 있지 않았다.
이날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2016~2020년 5년간 역주행으로 인한 사고는 총 1천297건으로, 한 해 평균 260여건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도내에선 총 245건의 역주행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지난 2020년 역주행이 반복적으로 발생한 도로 105곳을 조사해, 이 중 88곳을 개선 대상으로 선정했다. 해당 조사에선 역주행 사고의 원인으로 ▲노면표시가 제대로 안 된 곳(35.2%) ▲안전표지가 미흡한 곳(21.6%) 등이 꼽혔다.
박무혁 한국도로교통공단 교수는 “역주행으로 인한 사고는 전체 교통사고보다 사망률이 3배 이상 높은 만큼 관계 당국은 운전자들이 한 번에 인지할 수 있도록 관련 표지판 및 노면 표시 등을 더욱 확충할 필요가 있다”며 “근본적으론 운전자 친화적으로 표지판 등이 설치될 수 있도록 정책의 방향도 바뀌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경찰청 관계자는 “역주행으로 인한 사고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있는 만큼 일선 경찰서와 협조해 교통사고 다발지역에 대한 점검 시 이들 지역에 대한 점검도 철저히 나서겠다”고 말했다.
김정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