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흥, 호조벌 농민들 성토 단속에 반발 “생존권 보장”

image
시흥 호조벌(매화동, 미산동, 은행동 일원) 농민들이 불법 성토행위에 대한 단속에 반발하고 있다. 시흥시 농민회원들이 시청 앞에서 트랙터 등 농기계를 동원해 항의 집회를 하고 있다. 김형수기자

시흥시 호조벌(매화동, 미산동, 은행동 일원) 농민들이 당국의 불법 성토행위 단속에 반발하고 있다.

당국도 행정조치 유예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해결의 실마리는 보이지 않아 진통이 예고되고 있다.

22일 시흥시와 시흥시농민회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06년부터 호조벌에서 진행 중인 농지 불법 성토 단속과 함께 이행강제금 부과 등 행정행위를 진행해 왔다.

현행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상 50㎝ 미만 성토는 가능하지만, 농지법은 주변 농지와의 상관관계를 중시, 이웃 농지 경영에 지장을 주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다.

이에 따른 처벌조항도 원상으로 회복하지 않으면 이행강제금 부과 및 형사고발까지도 가능, 행정행위가 지속되면 농민 피해가 우려된다.

image
시흥 호조벌(매화동, 미산동, 은행동 일원) 농민들이 당국의 불법 성토행위 단속에 반발하고 있다. 시흥시농민회원들이 시흥시 농업기술센터 앞에서 항의 시위를 하고 있다. 김형수기자

이런 가운데, 농민회는 “1990년대 후반 쌀 과잉 생산에 따른 정부 정책방향이 답 농지의 전 농지 변경 및 대체농지 허가였다”며 “시도 답 농지에서 채소·과일·특용작물 재배를 권장하다 최근 일방적으로 답 농사 전환을 요구하고 행정처분 명령 및 계고장 등을 발송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얼마 전까지 농업장려금을 주면서 대체농지 경작·재배·생산 등을 지원하다 갑자기 답 농지 내 채소 과일 특용작물 재배를 불법으로 간주하는 행위는 직무유기에 해당한다”며 “수십년 동안 경제적 약자로 순응한 농민들의 생존권과 재산권을 침해하는 행위를 중단하라”고 덧붙였다.

시 관계자는 “개발제한구역 내 모든 행위는 사전 인허가 부서 절차를 거친 후 진행돼야 한다”며 “호조벌은 현재 토지형질변경이 제한돼 농민들의 상충되는 여러 의견에 대한 각계각층 의견을 수렴을 위해 시민포럼을 개최. 이를 통해 법 테두리 안에서 정책방향을 세우고 상생방안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시흥=김형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