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간 교대근무 근로자들의 음주·흡연습관이 나빠질 위험도가 주간 고정 근무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분당서울대병원 국제진료센터(가정의학과) 이승연 교수 연구팀에 따르면 지난 2005년부터 2019년까지 14년 동안 축적된 4천46명의 한국노동패널조사 데이터를 활용, 근로 형태 변화가 음주와 흡연 습관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의 조사 대상자는 4천46명으로 교대 근무자 422명과, 비교대 근무자 3천624명 등으로 구성됐다. 연구팀은 이들을 지속적인 주간 고정근무자, 주간 고정근무에서 야간 교대근무로 전환한 근로자, 야간 교대근무에서 주간 고정근무로 전환한 근로자, 지속적인 야간 교대근무 근로자 등으로 분류했다. 지속적인 주간 고정근무자와 비교했을 때 주간 고정근무를 하다 야간 교대근무로 전환한 근로자는 음주 및 흡연 습관이 악화될 위험이 18% 높았다. 지속적으로 야간 교대근무를 해온 근로자의 경우 위험도가 11%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승연 교수는 “24시간 잠들지 않는 사회를 유지하기 위해 야간근무를 포함한 교대근무 종사자들이 늘고 있다”며 “근로자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선 흡연·음주를 포함한 생활습관에 의학· 사회적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임상의학저널(Journal of clinical medicine)’ 최신 호에 게재됐다.
성남=문민석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