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일부 지자체가 탄소중립 달성 등을 위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지만 파주시는 관련 업무가 여러 부서로 분산돼 효율적 대응이 떨어지고 있어 개편이 시급하다.
7일 파주시와 환경운동연합 등에 따르면 정부가 탄소중립 실현을 통한 기후위기 극복을 선언한 뒤 수원·성남·김포·화성·남양주·포천시 등 10여개 지자체가 녹색성장기본조례 제정은 물론 기후위기 대응계획 수립 등 탄소중립 이행기반을 구축 중이다.
특히 관련 부서는 물론 에너지, 도로, 건물, 농업, 산림, 폐기물 모든 행정조직과 주민협조가 절대적임을 감안해 기후환경 에너지분야에 대응할 수 있는 통합 전담조직으로 기후대기과와 기후에너지과, 친환경적책과 등 조직 확대를 가동 중이다.
이런 가운데, 파주시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 실현을 비전으로 표방하고 있지만 관련 조례도 제정되지 않았다.
조직도 기후대응분야는 대기관리팀, 미세먼지분야는 생활환경팀, 환경지도는 환경지도팀, 에너지분야는 신재생에너지 수소에너지TF 등이 담당하는 등 탄소중립 연관 부서가 나눠져 능동적 대처가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 지난 2005년에 비해 지난해 12월말 현재 직접 온실배출량은 273% 증가로 도내 5위, 간접 온실배출량은 313% 증가로 도내 4위 수준을 보이고 있다.
환경운동연합 등은 “민선 8기 인수위 단계부터 기후환경 에너지분야에 대응하는 조직 등을 최소 타 시처럼 ‘과’ 체제로 통합 운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경일 시장 당선인은 선거과정에서 한살림 고양파주생협 등 3개 생협 조합원들의 질의에 대한 정책답변서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한 탄소중립대응 등 탄소중립산업으로의 전환은 필연적이라며 빠른 정책 전환을 시사했다. 그는 “기후위기 등에 대처하기 위해 관련 조례를 제정하는 한편 탄소중립을 위해 자원순환시설 설치와 타 시·군처럼 청내 기후대응과 등 관련 조직확대 등에 대해 주민 모두 이해할 수 있고 수긍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약속했다.
파주=김요섭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