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8기 출범을 앞두고 화성지역 시민들이 수원군공항 이전에 따른 경기남부통합국제공항의 조속한 추진에 한 목소리를 냈다.
특히 이들은 경기남부지역 800만 시민 거주와 항공 운송의 필요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경기남부통합국제공항에 대한 정부 건의의 지속을 선언했다.
26일 화성국제공항 추진 비상대책위원회 등에 따르면 40여명의 화성지역 시민들로 구성된 화성국제공항 추진 비상대책위 등 4개 단체는 전날 화성시 안녕동 융건릉에서 경기남부통합국제공항 추진과 관련한 결의대회를 개최했다.
이들은 경기남부통합국제공항의 전제 조건으로 여겨지는 수원군공항이 옮겨지면, 화성 지역 중부권의 소음 피해 및 학습권 침해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지역 숙원 사업인 동서 불균형 발전의 해법으로 해당 공항의 신설을 내세웠다. 동탄신도시~병점동~향남읍~우정읍(군공항 예비 이전 후보지)을 잇는 화성 간선뿐만 아니라 신분당선의 우정읍 연결 시 경기남부통합국제공항 주변에 대한 촘촘한 교통망으로 해당 지역에 대한 상전벽해가 기대된다는 것이다.
아울러 김동연 경기도지사 당선인이 군공항 이전(경기일보 5월5일자 2면)을 약속하는 등 해당 사안의 분위기가 무르익었기에 이들 단체는 경기남부통합국제공항 건설로 인한 경기 남부 지역의 공동 번영을 내다봤다.
차성덕 화성국제공항 추진 비상대책위원장은 “경기 남부 지역에는 800만명의 시민에다 반도체 관련 업체들이 많기에 항공 운송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며 “앞으로 우리와 같은 뜻을 지닌 단체들과 함께 군공항 이전과 더불어 경기남부통합국제공항의 건설을 중앙정부에 줄기차게 요구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시민들은 경기남부의 통합국제공항에 대한 기대감을 보였다. 화성시민 A씨는 “아직 찬반이 첨예한 상황에서 사업을 확실시 할 수 없겠지만 장기적으로 필요하지 않나 싶다”며 “다만 분명한 의견 및 여론 수렴이 필수일 것”이라고 말했다.
수원시민 B씨는 “경기도에서도 관심을 기울이는 만큼 실현 가능성이 한층 높아진 것 아닌가 싶다”면서 “경기남부의 발전을 위한 사업 추진에 긍정적이지만 주민 피해의 경우에는 세밀하게 살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