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환경, 사회, 거버넌스) 경영과 관련한 관심 중 핵심은 단연 순위 매기기(Ranking) 혹은 등급 매기기(Rating)와 같은 ESG 평가이다. ESG를 투자의사결정에 반영하는 경향이 강화되면서 기업은 자본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라도 ESG 경영에 주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었고, 자신들의 ESG 성과를 빈틈없이 관리하고 홍보하고 있다.
공급망에서 ESG 경영을 촉진하는 활동 또한 중요한 ESG 평가 항목이며, 이런 이유로 국내 대기업 및 글로벌 다국적 기업들은 자신들과 거래하는 공급사 혹은 협력사인 중소기업에게 ESG 경영을 요구하고 있다. 공급망 ESG가 대다수 중소기업에게는 생존을 위협하는 실질적인 규제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현실이다. 그런데 여러 중소기업을 만나서 ESG 경영 도입과 관련한 고충을 듣다 보면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분야가 ESG 전략 수립이다. ESG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는 인식은 있지만, 인력과 예산이 제한되어 있는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쉬운 일이 아니다.
ESG 전략은 조직 전반에 걸쳐 ESG를 통합하는데 가장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전략은 조직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중장기 경영전략과 연계되어 있어야 하며, 조직의 모든 의사결정 과정에서 ESG 전략이 고려되도록 해야 한다. 그러면 ESG 경영 추진의 기초가 되는 ESG 전략 수립 활동의 핵심은 무엇일까?
조직이 ESG 전략을 가지고 있다는 말은 ESG 이슈를 다루기 위한 우선순위과제(Priorities)를 ‘선택’해서 보유하고 있다는 말과 같다. 선택(Choice)이라는 말은 각종 데이터와 자료를 바탕으로 임직원의 논의를 통해 후보과제 중 중요한 과제를 고른다는 말이다. 이를 통상 전략과제라고 부른다. 한정된 자원을 효과적으로 배분해서 조직의 ESG 경영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우선순위과제가 수립되어 있어야 한다.
우선순위과제는 이슈 중요성 평가를 통해 우리 조직이 사회에 만들어내는 영향(Impact)의 크기를 기반으로 중요한 이슈(Material Issues)를 찾아내고, 도출한 중요이슈와 관련한 우리 회사의 강·약점을 반영하여 만들면 된다. 특정한 조직이 모든 ESG 이슈를 다루거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우리 회사가 잘 하는 것, 우리 회사가 하면 경제, 환경, 사람(Economy, Environment, People)에게 미치는 효과가 큰 것에 집중하는 것이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에 기여하는 일이다. 따라서 자신의 경영 환경 관점에서 중요한 ESG 이슈를 찾아 우선순위과제로 만드는 노력이야말로 전략 수립 활동의 핵심인 것이다.
이현 신한대 글로벌통상경영학과 교수·신한대 ESG혁신단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