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여성독립운동가 남자현의 활동과 교훈

image
김가은 계명대학교 교수

일제 강제 침탈로 인해 수많은 독립운동가는 개인의 영달을 뒤로한 채 오직 조국 독립을 위해 목숨을 아끼지 않았던 여성독립운동가의 대표적인 거목을 손꼽으면 남자현 독립투사이다.

국가보훈처 공훈록을 살펴보면 남자현은 경북 영양(英陽) 사람으로 19세 때 영양군 석보면(石保面) 김영주(金永周)에게 출가하였다. 출가한 지 6년 후인 1895년에 부군이 의병을 일으켜 일본군과 싸우다가 전사하니 남자현은 삼대독자인 유복자를 기르며 시부모를 봉양(奉養)했다.

1919년 3·1독립운동이 일어나자 적극적으로 만세 운동에 참가한 후 동년 3월 9일 만주로 망명해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에 참가하여 활약하는 한편 각 독립운동 단체와 군사기관 및 농촌 등을 순회하면서 민족의식을 고취시켰다. 동만(東滿)일대 12곳에 예배당을 세우고 10여 곳에 여자교육회(女子敎育會)를 설립하여 여성계몽과 해방운동에 성심을 다하였다. 또한 남만(南滿)각지를 순회하면서 동지들간의 불화를 화해시키는 데 적극적으로 노력하였고 독립 운동 군자금 모금에도 힘을 다하였다.

1928년에는 길림에서 김동삼(金東三)·안창호(安昌浩)외 47인이 중국경찰에 잡히게 되자 감옥까지 따라가서 지성으로 옥바라지를 하였으며 그 석방에 노력하였다. 1931년 10월에 김동삼이 「하얼빈」에서 체포되자 김동삼의 친척을 가장하고 일본영사관에서 여러 동지에게 중요한 연락을 취하고 김동삼이 국내로 호송될 때 탈환을 계획하였으나 시일이 촉박해 성공하지 못하였다.

1932년 9월에는 국제연맹 조사단 「릿톤」경이 「하얼빈」에 조사를 왔을 때 왼손 무명지 두마디를 잘라서 흰수건에 「韓國獨立願」이란 혈서를 써서 자른 손가락을 싸가지고 조사단에게 보내어 우리의 독립정신을 국제연맹에 호소했다.

1933년에는 여러 동지들과 함께 일본대사관 무등신의(武藤信義)를 격살(擊殺)할 것을 계획하고 만주 건국일인 3월 1일을 기다렸다. 남자현은 동지와의 연락 및 무기운반 차 「하얼빈」에 가서 2월 27일 중국걸인 노파로 변장하고 무기와 폭탄을 운반하다가 하얼빈 교외 정양가(正陽街)에서 일경에게 체포됐다. 일본영사관에 구금되어 여섯 달 동안 혹형을 받아오다가 그해 8월부터 단식 항쟁을 시작하였다. 그후 15일 만에 사경에 이르자 보석으로 석방되었으나 ‘독립은 정신으로 이루어지느니라’라는 말을 남기고 1933년 8월 22일 순국해 「하얼빈」 남강(南崗) 외국인묘에 안장되었다가 1967년 서울현충원으로 이장했고, 대한민국 정부는 1962년에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남자현 독립유공자는 광복군의 어머니로 평생을 여성의 몸으로 위험을 무릅쓰고 일본 주요인사 요인암살 등 무장 독립투쟁을 실천으로 보여준 대표적인 인물로 손꼽힌다. 국내 여성독립유공자 중 유관순, 장개석부인 송미령 다음으로 독립유공자의 서훈 2등급인 대통령장에 추서된 중요한 인물로 후세들은 이분에 대한 혁혁한 독립운동 활동과 불타는 용기 그리고 애국심을 결코 잊어서는 안될 것이다.

김가은 계명대학교 교수·한국보훈포럼 이사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