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시장에서 투자의사결정에 비재무적인 요소인 ESG(환경, 사회, 거버넌스) 이슈를 반영하자는 트렌드가 확산되면서 ESG 경영에 대한 관심과 주목이 급증했다. 이러한 관심은 ESG 평가와 ESG 성과를 보고(Reporting) 하는 비재무보고서에 대한 관심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는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지속 가능성 보고 지침인 GRI 표준(GRI Standards)을 제공하고 있는 국제기구이다. 2000년 이래로 전 세계 수천 개의 기업과 기관들은 GRI 표준을 활용하여 지속 가능성 보고서(ESG 보고서, CSR 보고서)를 작성하고 있다. 보고의 목적은 경제, 환경, 사람에 대한 중대한 영향(Significant impacts on the economy, environment, and people)과 영향을 관리하는 방법을 이해 관계자에게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좋은 보고서, 수준 높은 보고서를 작성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GRI 표준은 조직이 중대한 영향을 식별하고, 이것을 우선적으로 보고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강조한다. GRI 표준에서 제시하는 중대한 영향 결정 4단계를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단계는 조직의 활동 및 비즈니스 관계, 지속 가능성 맥락, 이해관계자 등에 대한 개요를 작성하는 것이다. 두 번째 단계는 실제적 혹은 잠재적 영향이 무엇인지 식별하는 것이다. 영향은 부정적인 영향과 긍정적인 영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영향 식별을 위해 조직은 경영 시스템 운영 결과, 뉴스 등 외부 정보, 전문가의 의견 등 다양한 출처의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세 번째 단계는 식별된 영향의 중대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영향의 중대성 평가에는 정량적·정성적 분석이 포함된다. 중대성은 조직의 다른 영향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예를 들면 온실가스 배출 영향을 조직 내 다른 영향과 비교해야 하는데, 글로벌 온실가스 배출량과 비교하게 되면 중요하지 않다는 잘못된 결론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네 번째 단계는 순위를 매기는 것이다. 보고할 중요 주제(Material Topics)를 결정하기 위해 조직은 중대성에 따라 영향의 순위를 지정해야 한다. 결정된 중요 주제는 보고서의 독자나 전문가와 검토하고, 최종적으로 조직의 최고의사결정기구의 승인 절차를 통해 확정한다.
조직이 이런 프로세스에 따라 중요 주제를 우선적으로 보고하는 것은 결국 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에 긍정적으로 기여(Contributions) 할 수 있는 방법과 전략을 조직이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우리 사회가 바라는 수준 높은 ESG 보고서가 많아지기를 기대해 본다.
이현 신한대 글로벌통상경영학과 교수·신한대 ESG혁신단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