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반대… 안양 명학마을 가로주택정비 ‘난항’

조합 “서류검토만 최소 6개월 지연땐 피해 우려”
市 “공공재개발 GH가 검토… 확정된 것 없다”

image
안양 명학마을. 경기일보DB

안양 명학마을 가로주택정비사업이 일부 주민들의 반대로 난항을 겪고 있다.

30일 안양시와 조합원 등에 따르면 명학마을은 지난 2010년 도시주거환경 정비기본계획을 토대로 정비예정구역에 포함돼 재개발사업을 추진했으나, 지난 2013년 주민 반대에 부딪혀 구역 지정이 무산됐다.

이런 가운데, 지난 2017년 국토부로부터 도시재생 뉴딜사업 시범지역에 선정되면서 명학마을 내 안양동 371번지, 안양동 342-50번지, 안양동 368번지, 안양동 342-10번지 등 4개 구역으로 나눠 가로주택 정비사업이 추진 중이다.

현재 안양동 371번지 1구역은 조합설립인가를 받아 건축 심의 중이고 안양동 368번지 2구역은 다음 달 창립총회를 앞두고 있다. 안양동 342-50번지 4구역은 조합설립인가를 신청한 상태로 계획대로 사업이 추진 중이다.

하지만 안양동 342-10번지 3구역은 일부 토지주들이 공공재개발 추진위를 꾸리는 등 가로주택정비사업을 반대하고 나서 지연되고 있다. 이들은 최근 GH에 주민제안서를 접수했으며 GH가 제안서를 검토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공공재개발 추진위 관계자는 “공공재개발은 속도가 빠르고 투명하게 진행할 수 있다”며 “소규모 정비사업보다 도로나 커뮤니티시설 등 기반시설도 차이가 날 뿐만 아니라 사업성도 좋다”고 강조했다.

이에 기존 가로주택정비사업조합은 일부 주민들의 반대로 사업이 지연될 수 있다며 반발하고 나섰다.

조합 관계자는 “공공재개발사업은 서류 검토에만 최소 6개월이 걸리고 여기에 주민설명회 후에 동의서를 받는데 시간이 얼마나 걸릴지 모른다”며 “조합방식 역시 투명하게 진행되고 현재 80% 이상 주민이 동의한 만큼 사업속도도 훨씬 빠르다”고 말했다. 이어 “조합설립을 앞둔 단계에서 공공재개발사업 추진은 가로주택정비사업을 반대하기 위한 수단이다. 주민 반대로 지연되면 조합원만 피해를 입는다”고 덧붙었다.

시 관계자는 “가로주택정비는 시가 개입해 추진하는 사업이 아니다. 공공재개발과 관련해서는 GH가 검토 중이고 현재 아무 것도 확정된 게 없다”고 밝혔다.

안양=김형표·박용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