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칼럼] 청라시티타워 문제, 인천경제청이 중심 잡아야

지난 2006년 7월21일 인천경제자유구역 중 한 곳인 청라국제도시가 스포츠·레저·금융 복합도시로서의 첫발을 내딛는 기공식에서 가장 눈에 띈 것은 바로 청라시티타워다.

총괄 사업자인 LH(한국토지주택공사)와 인허가를 담당한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이듬해 10월 공모에 나서는 등 청라시티타워 건설을 본격화했다. 계획이 나온 지 벌써 16년째. 아직 청라 어디에서도 이 같은 모습은 찾아볼 수 없다. 호수공원 중앙에 부지만 덩그러니 있을 뿐이다.

그 사이 속속 청라에 입주한 주민들은 분통이 터진다. 단순히 ‘청라시티타워가 들어서야 내 집값이 오를 텐데...’라는 푸념이 아니다. 장밋빛 청사진을 보고 반해 값비싼 아파트 분양금까지 내고 이사 왔지만 그 청사진의 핵심인 청라시티타워 인근은 여전히 높은 가림막이 있는 공사장이기 때문이다. 심지어 그들이 낸 비싼 분양금에는 청라시티타워 건설 비용이 녹아 있다. 사실상 주민들이 낸 돈으로 지어지는 청라시티타워지만 그들은 10년이 넘도록 그 모습을 구경조차 하지 못하며, 언젠가는 들어서겠지 하는 희망 고문만 당하고 있다.

왜 이럴까. 이유는 간단하다. LH와 인천경제청이 낸 청라시티타워 사업 공모에 ‘내가 해볼게’라고 나선 민간사업자가 계속 미룬 탓이다. 공사비가 어쩌고, 사업성이 어쩌고 하는 그런 이유다. 당초 그들이 공모에서 발표한 내용, 제출한 계획, 그리고 협약대로 사업을 진행하면 끝인데 말이다.

부동산 경기 등이 나빠져 수익성이 떨어진다고 해도 그 또한 민간사업자가 사전에 예측을 잘못한 것이다. 적자를 보더라도 사업은 계속해야 했다. 본인들 스스로 해보겠다고 공모에 참여해 최종 협약을 한 만큼, 반드시 그 협약은 지켜야 했다. 이는 LH나 인천경제청과 한 계약이기 이전에 주민들과의 약속이기 때문이다. 그 약속을 지키지 못하거나, 이를 빌미로 또 다른 조건만 내거는 민간사업자는 더 이상 필요 없다. 회사의 이익 때문에 인천 시민에게 고통만 안겨 주는 민간사업자는 인천에 아무런 보탬을 주지 못한다.

물론 민간사업자만 탓할 것은 아니다. LH와 인천경제청의 (준)공직자들의 탓도 크다. 공모 사업인데도 불구하고 계속 민간사업자에게 질질 끌려간다. 약속을 지킬 것을 강하게 요구하는 채찍질이 필요했다. 하지만 좋은 게 좋은 것이라고 LH와 인천경제청은 민간사업자를 달래만 왔다.

당초 주민들은 LH와 인천경제청이 사업을 잘 추진할 것이라 굳게 믿어 왔다. 다만 아직도 그 믿음이 남아 있을지 의문이다. 이제라도 LH와 인천경제청이 중심을 잡아야 하는 이유다.

특히 그동안 인천경제청의 ‘청라시티타워 사업은 LH가 하는 사업’이라는 인식을 깨고, 주민들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지역 안팎에서 인천경제청이 송도국제도시에만 집중한다는 오해가 크다. 이 같은 오해를 불식시키기 위해서라도 이제는 인천경제청이 나서 청라시티타워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이민우 인천본사 정치부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