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시 국립민속박물관 분관 건립 추진 속도

image
김경일 파주시장이 홍익표 국회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장 등을 만나 국립민속박물관파주분관건립을 건의하고 있다.

파주시가 추진 중인 국립민속박물관 파주개방형 수장고의 파주분관 설립이 속도를 내고 있다. 국립민속박물관 파주개방형 수장고는 경기북부 최초이자 유일한 국립박물관이다. 앞서 시는 탄현면 통일동산관광특구 내 국립민속박물관 파주개방형 수장고(이하 민박 파주수장고)를 전시관 등도 병행할 수 있는 파주 분관으로 건립을 추진(경기일보 9월7일자 8면)한다고 밝힌 바 았다.

30일 파주시에 따르면 김경일 시장은 지난 27일 국회를 방문, 윤후덕 의원(파주갑), 홍익표 문화체육관광위원장과 잇따라 만나 현재 국립민속박물관 파주수장고 유휴부지를 확장해 파주분관으로 승격 건립되도록 내년 예산에 반영해 줄 것을 건의했다.

김 시장은 이 자리에서 “파주는 수도권에서 지리·교통적 접근성이 높으며 전국에서 사립박물관이 가장 많은 지역으로 많은 문화자산이 있다. 특히 헤이리 문화지구가 있는 관광특구”라면서 “ 민박파주수장고를 경기북부 최초이자 유일한 국립박물관 파주분관으로 승격 건립에 협조해 달라”고 요청했다.

앞서 김 시장은 지난 9월 우원식 국회예결위원장을 방문해 정책 협의를 열고 민속박물관 유치 필요성 설명과 협조를 구하고 공감대를 얻어 낸 바 있다.

김 시장은 “국립민속박물관 파주분관 유치는 국립민속박물관 지방이전계획으로 생기는 수도권 주민의 민속문화에 대한 문화욕구의 부재를 해소하고 미래 남과 북의 민속문화 교류의 허브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 개관 1주년을 맞은 민박 파주수장고는 개방형 수장고를 지향하며 통일관광특구 내 총 427억원을 들여 대지면적 6만㎡(연면적 1만여㎡) 규모로 2018년 착공해 지난해 완공됐다. 경복궁 복원정비계획에 따라 본관인 서울 국립민속박물관이 2040년 이후 지방으로 이전이 예정돼 소장품관리 및 보존 등을 위해 본관 이전에 앞서 파주로 이전을 추진하면서 성사됐다. 수장고 15곳을 갖췄는데 맷돌, 항아리 등 민속유물 8만6천여건(14만3천여점)과 사진, 영상 등 민속아카이브 77만8천여건(99만7천여 점) 등을 소장 중이다.

파주=김요섭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