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안타깝게 목숨을 잃은 분들의 명복을 진심으로 빈다.
소방공무원은 매일매일 국민들의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화마와의 전쟁을 치르고 있다. 특히 11월은 화마의 세력이 커져 가는 시기다. 이에 따라 전 소방기관은 11월 한 달을 ‘불조심 강조의 달’로 지정해 운영하고 있다.
소방청 화재통계자료에 따르면 작년 한 해 동안 전국에서 3만6천267건의 화재가 발생했다. 이 중 10월 2천710건, 11월 2천908건, 12월 3천453건, 1월 3천847건으로 11월부터 점점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11월에서 2월 사이 발생하는 화재의 69%가 전기 난방기구로 인한 화재다. 추운 날씨에 난방기구를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이 시기를 우리는 어떻게 하면 안전하게 보낼 수 있을까.
첫째, 전기장판이나 전기열선은 KC 마크가 있는 것을 사용해야 한다.
둘째, 사용하기 전 반드시 점검을 해야 한다. 전선의 파열 여부를 확인하고, 장판이나 콘센트에 낀 먼지를 제거하며, 전기장판 및 전기열선이 파손되거나 마모된 곳은 없는지 확인해야 한다.
셋째, 사용 시 주의사항을 숙지하도록 한다. 전기장판 위에는 반드시 라텍스 같은 불이 잘 붙는 재질이 아닌 얇은 이불을 사용하고, 취침 등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할 경우 저온화상을 입을 수 있으니 온도 조절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전기히터·난로는 어린이, 반려견이 있을 경우 사용을 자제해야 하며, 전기히터·난로 주위에는 불이 붙을 만한 물건을 모두 치우고 충분한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넷째, 사용 후나 외출 시 반드시 전원을 차단한다. 전원이 켜진 상태로 오랜 시간 이불, 침대와 방치하면 화재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사용하지 않거나 외출 할 때에는 반드시 전원을 끄고 플러그까지 뽑는 것을 습관화하도록 하자.
다섯째,안전하게 보관해야 한다. 전기장판을 사용하지 않는 기간(봄~가을)에는 돌돌 말아서 보관하며, 전기장판 위에는 무거운 물체를 올려놓지 않도록 한다.
그 외 겨울철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로는 가스보일러와 화목보일러가 있다.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동 전에는 배기통이 빠져 있거나 찌그러진 곳은 없는지 확인하고, 배기통 내부에 이물질이 쌓여 막혔거나 구멍이 난 곳은 없는지 점검한다. 화목보일러는 가연물을 보일러와 2m 이상 떨어진 곳에 보관하며, 가스보일러와 마찬가지로 연통에 찌꺼기가 쌓이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청소하는 등 안전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국민의 눈높이에 맞춰 우리 소방공무원도 현장 대응 능력 강화로 국민들의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지킬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박철수 구리소방서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