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시가 환경순환센터 현대화사업 등 환경기초시설 미래상으로 민·관 상생발전개념 도입을 집중 검토하고 나섰다.
22일 파주시에 따르면 환경순환센터현대화사업과 소각장 신·증설사업 등에 주민 의견을 최대한 고려한 선진 환경기초시설을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현재 환경순환센터는 시설 노후화로 고질적인 악취민원 발생과 노후설비 운용에 따른 비용부담이 재정을 압박하고 있고 소각장 신·증설사업도 일부 지역 주민들의 유치반대 등 반발 강도를 무시할 수 없는 실정이다.
시는 이에 따라 환경기초시설이 필수임을 감안해 일방 주도의 정책집행에서 벗어나 김경일 시장의 정책기조인 상생발전개념을 환경분야에도 도입하기로 했다.
국·내외 우수사례를 적극 반영해 환경과 여건 등을 고려하면서 누구나 찾고 싶은 주민친화형 환경기초시설을 구축한다는 것이다.
주목할 점은 에코센터다. 이 시설은 지하화 외에도 지상에 설치된 편익시설을 인근주민들이 운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역과 상생하는 협력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하남시의 하수·폐기물 종합처리시설인 유니온파크와 충주 음식물 바이오에너지센터 등도 검토대상에 포함된다. 유니온파크는 모든 공정을 지하화한 전국 최대 규모 통합형 환경기초시설로 지상에는 105m 높이의 전망대와 물놀이시설, 체육시설 등을 갖추고 있다. 충주 시설은 음식물쓰레기를 소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를 이용해 수소를 생산·공급하는 시설을 운영 중이다.
김 시장은 이들 지역을 잇따라 방문해 자신의 정책 구상을 다듬었다. 김 시장은 “각 시설 장점을 취하고 주민 의견을 최대한 고려한 선진 환경기초시설을 만들겠다”며 “환경과의 공존은 다음 세대를 위한 책임론과 당위성에 앞서 현 세대의 시급한 과제다. 환경을 생각하고 지속가능한발전위해 상생발전 환경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