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나는 문화유산] 양주 청련사 아미타불괘불도 및 복장물

image

아미타여래입상을 중심으로 좌우협시인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을 꽉 채워 배치한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19, 20세기 서울과 경기 지역 괘불도의 도상을 보여주고 있다. 수화승 상규가 그린 유일한 괘불도이면서 그의 마지막 작품이라는 점에서 상규의 만년의 화풍을 살필 수 있다. 또 상규의 제자이자 근대기 단청장으로 명성이 높았던 자성만봉이 금어로 인정받고 처음 임했던 작품이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문화재청 제공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