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지금] 떠오르는 IT 시장 ‘중동’

image
김유림 중국스포츠산업연합회 한국지부장·카타르 민간대사

중동이 중요한 정보기술(IT) 시장이자 허브로 부상하고 있는 배경에는 중동의 평균 연령이 전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인 25세 이하이며 대다수 인구가 신기술과 스마트 기기 사용에 적극적이라는 점을 들 수 있다. 중동의 젊은 인구는 IT 산업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 지난해 아랍에미리트 전체 인구의 87%가 유튜브를, 81%는 페이스북을 사용 중이며 사우디아라비아에서도 왓츠앱(87%), 인스타그램(78%), 트위터(71%) 등 소셜미디어 플랫폼의 이용률이 전체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작년 중동 국가의 IT 관련 예산 규모는 총 133억달러였고 2021년 대비 IT 서비스(9.6%)와 소프트웨어(8.0%) 부문에서 예산이 증가했다. 중동은 국가 차원에서 교육, 물류, 헬스케어, 공공 영역 등 사실상 분야의 디지털 전환을 추진 중이기 때문에 향후 IT 분야는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중동에서는 IT 산업과 관련된 국제 전시회 및 포럼을 매년 개최하고 있는데 국제 전시 등을 통해 IT 관련 최신 기술을 소개하고 자국의 IT 산업을 홍보하고자 한다. 대표적으로 아랍에미리트(GITEX), 사우디(LEAP, BIBAN), 이집트(Cairo ICT), 터키(Mobile Fest)가 있다.

 

중동 정보통신기술(ICT) 시장을 견인하는 국가는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라 할 수 있는데 특히 사우디아라비아는 중동에서 가장 중요한 IT 및 통신 시장이라고 할 수 있다. 사우디 통신정보기술부는 향후 2만5천개의 ICT 관련 직업을 창출하고 IT 기술 시장의 크기를 50% 증대시키기 위해 기술 개발을 전폭적으로 지원하는 2019~2023년 ICT 전략을 도입한 바 있다. 지난해 사우디의 ICT 시장 규모는 334억3천만달러였고 올해에는 5.6%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비전 2030과 네옴시티 등 정부 주도의 거대 프로젝트는 모두 ICT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앞으로 이 시장의 발전은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외에도 사우디 정부는 2030년까지 전 세계 인공지능(AI) 분야에서 국가 순위 15위 진입을 목표로 데이터·AI 국가 전략을 수립했고, 전략의 일환으로 글로벌 기업과의 기술협력 및 정부 투자 확대를 추진 중이다. 사우디의 네옴시티 건설이 대표적인 AI 기반 프로젝트라고 할 수 있다. 네옴 프로젝트는 서울의 44배 면적에 AI 및 IT 첨단기술을 포함해 5천억달러가 넘는 자금을 투입해 세계 최대의 인공 스마트 시티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랍에미리트의 경우 2017년 ‘UAE AI 전략 2031’을 발표한 이래 다양한 산업에 AI 기술을 도입해 비용을 최대 50% 절감하고자 관련 법을 제정하고 AI 기업을 유치·육성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 중이다. 아랍에미리트는 AI 기술이 2030년까지  국내총생산(GDP)의 약 14%(960억달러)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이미 교육, 의료, 우주, 운송 및 항공 산업에 AI 기술을 활발하게 적용하고 있다. 특히 AI 기술을 활용해 2030년까지 전체 차량의 25%를 자율주행차량으로 전환하는 계획을 현재 실행 중이다.

 

아랍에미리트 정부가 두바이 인터넷 시티(1999년), 두바이 실리콘 오아시스(2005년) 자유무역지대를 설립해 ICT 산업을 전문으로 하는 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있다는 점 또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같은 산업 클러스터를 통해 강화되고 있는 IT 분야는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로 2026년까지 최대 10억달러의 추가 투자가 이뤄질 예정이다. 또 아랍에미리트는 에너지, 석유 및 가스, 항공 산업에 있어서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는 만큼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산업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이 핵심이다. 따라서 사이버 보안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중동 주요국에서 IT 기술이 적용되고 확장되고 있는 시점에서 대한민국의 제2의 중동 붐이 일어 의미있는 협업의 기회를 만들어갈 수 있길 바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