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ChatGPT(챗지피티)에게 경기도 현안에 대해 질문했다. 일단 접속 방법이 쉽지 않았다. 구글 계정으로 접속이 가능했다.
채팅창에 경기도의 현안 문제점에 대해 질문했다. 챗지피티는 경기도의 문제는 다양하다. 주요 문제는 다음과 같다며 네 가지 사안으로 나눠 설명했다. 챗지피티가 지적한 문제는 △교통체증 △주거공간 부족 △대기오염 △자연환경 파괴 순으로 나열했다.
교통체증은 경기도가 수도권에 위치해 교통체증이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수도권과 인접한 지역들이 연결되는 고속도로와 지하철 노선은 매일 많은 차량과 사람들로 인해 혼잡하다고 분석했다.
대안도 물어봤다. 교통체증을 해소하기 위해 대중교통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했다. △지하철 노선 확대, 고속도로 확장 등을 통해 교통 인프라를 강화하고 대중교통 이용 촉진 정책으로 개인 자동차 이용을 줄이는 방안을 내놨다. 구체적으로 질문하면 어느 지역의 노선 확대와 고속도로 확장이 필요한지도 학습을 통해 방안을 내놓을 수도 있을 것 같다.
주거공간 부족 문제에 대해 경기는 인구 밀집지역으로 주거공간 부족이 심각하다고 했다. 이로 인해 집값이 상승하고 젊은 세대가 집을 구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안내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챗지피티는 공공주택 건설과 대규모 아파트 신축 등으로 주거 공간을 확보하는 방법이 있다고 했다. 또 자영업자를 지원하는 사업을 확대해 중소기업과 개인사업자들이 거주할 수 있는 주거지역을 조성하는 것도 방법 중 하나라고 했다.
챗지피티는 대기오염 문제가 심각하다고 했다. 이유는 공장과 대규모 상업시설이 밀집해 있기 때문이란다. 특히 미세먼지 같은 미세한 입자 물질로 인해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했다.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했다. 대기오염검사체계를 강화하고 대기오염 원인을 분석하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했다. 마지막으로 챗지피티는 고도의 도시화로 인해 자연환경이 파괴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농경지와 기타 생태계가 훼손돼 생태적 균형이 깨질 우려가 있다고 했다.
자연환경 파괴에 대한 답변은 이러했다. 생태계 보호를 위한 정책과 법규를 마련하고 이를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이 같은 문제는 경기도 및 지역사회의 지속적 노력과 함께 협력으로 극복할 수 있다고 했다. 또 이러한 방법을 적극 추진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는 것이 경기도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는 길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경기도는 정책 수립과 방향 설정 등을 위해 인공지능(AI)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민간기업과 공공기관을 비롯해 국방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AI 도입은 거부할 수 없는 대세이지만 AI를 우리 사회에 안착시킬 수 있는 합의가 필요하다. 챗지피티의 답변처럼 AI 관련 정책과 법규를 마련하고 시행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한 시점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