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는 동시에 음양의 기운이 균형을 이루게 된다는 춘분은 본격적인 봄의 소식이라 할 수 있다. 자연이 균형을 이룰 때 아름다움의 절정인 꽃이 피듯 기업이 균형을 찾을 때 국가 경제도 꽃을 피운다. 기업의 균형은 기업인의 외부 운영과 정신의 균형에서 오는 것이다. 사상 초유의 경제 위기를 겪고 있는 지금이 새로운 시대정신을 모색할 적기이며 미래의 시대정신은 ‘기업가 정신’이라 믿는다.
개인의 문제를 자신만의 방법으로 적극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것이 곧 기업가 정신이라 일컫는다. 이런 적극적인 문제 해결 자세를 기업 운영에 반영해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가치와 이윤을 창출하는 것이 기업인의 자세이자 정신이다.
2020 암웨이 기업가 정신 보고서에 따르면 여성기업가정신지수가 높은 인도, 중국, 베트남 같은 국가들의 경제성장률이 높다고 한다. 안타깝게도 한국 여성의 기업가정신지수는 세계 여성과 아시아 여성 평균보다 훨씬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2018 세계기업가정신발전기구 발표에서도 총 77개국 중 대한민국의 평균 기업가정신지수는 24위, 여성 기업가정신지수는 43위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국내 여성기업가정신 연구에서도 한국 여성의 기업가적 역량이 남성과 비교하면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많은 전문가는 기업가 정신의 함양은 경제의 건강한 발전을 위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2017 여성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여성기업인의 장점으로 섬세함, 책임감 및 성실성, 조직 친화력, 청렴함, 업무관리능력 등이 꼽혔다. 더불어 여성기업의 장점으로는 사후관리를 통한 고객만족도 제고 노력, 여성기업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등과 함께 원활한 소통과 화합의 기업 분위기, 계획적이고 투명한 회사 경영 등 기업문화 차원의 요소가 장점으로 꼽혔다. 실제로 성공한 여성기업들을 분석해 보면 여성 특유의 섬세함과 꼼꼼함으로 어려운 순간들을 헤쳐 나갔음을 알 수 있다.
효과적인 기업가 정신을 함양하기 위해선 대외적인 정책 지원도 시급하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초·중·고교 과정에서부터 기업가 정신 함양에 필요한 문제 인식, 공감 및 이해, 문제 해결 능력 강화를 위한 교육과 더불어 창의성과 독창성을 위한 교육 서비스도 제공돼야 할 것이다. 더불어 여성기업가에 대한 낮은 사회적 인식 수준을 높이려는 노력도 이뤄져야 할 것이다. 대표적인 여성기업 성공 사례들을 적극 발굴하고 역할 모형으로 제공함으로써 여성들의 기업가 정신을 고취하고 강화해야 할 것이다.
기업가 정신의 함양은 국가 경제의 건강한 발전을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인 것은 분명하다. 위기의 시대에 개인의 노력에 더해 국가가 힘을 보태준다면 위기 뒤에 찾아올 한국은 곧 춘분을 맞이할 것이라 믿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