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대책 마련 후 논의 주문
부천시가 대장동 공영차고지의 대장공공주택지구 편입으로 차고지 지하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지하화를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2일 부천시와 김건 시의원 등에 따르면 시는 부천시 벌말로 43 대장동 공영차고지의 대장공공주택지구 편입으로 상부는 공원으로 조성하고 차고지는 지하로 조성할 계획이다.
현재 공영차고지는 부천 관내 소신여객과 부천버스, 부일교통, 성광운수 등 4개 시내버스 회사가 이용료를 내고 사용하고 있다.
차고지 이용 버스는 모두 314대이며 이 중 친환경 전기버스는 162대이고 향후 노후 차량은 친환경 전기버스로 교체될 예정이다.
이에 일각에서는 전기버스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전기 차량의 지하 주차는 화재 사고 발생 시에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공영차고지 지하화를 우려하는 시각이 존재해 왔다.
이런 가운데 김건 시의원(국민의힘, 라선거구)은 지난 21일 열린 제266회 부천시의회 임시회 제1차 본의회에서 대장동 공영차고지 지하화 사업에 대한 우려와 전면 재검토를 시정 질문을 통해 요구했다.
김건 시의원은 “공영차고지를 지하화한다면 가장 큰 문제는 친환경 전기자동차 화재 사고에 대한 대비책이 없다는 것”이라며 충분한 안전대책 마련 후에 지하화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전기차 화재 발생 시 열 폭주 현상으로 급격히 온도가 상승해 기존 소화기 사용은 무용지물이며 결국 차량을 지상으로 이동해 진화하는 방법 밖에 없다”며 “그것도 국내 기술력으로는 72시간 동안 물을 뿌려야 진화가 되고 해외에서 개발된 진화 캡슐을 사용하면 약 1시간가량 소요된다”고 전기 차량 화재 진화의 어려움을 지적했다.
김건 시의원은 “환경부와 산업부가 전기차 충전시설 지상 설치 의무화 방안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 부천시는 일반차량도 아닌 대형 전기버스 차고지를 지하에 조성하려는 이유가 무엇이냐”며 질타했다.
그는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행정은 이제 그만해야 한다.”라며 “시민의 안전을 최우선해 공영차고지 지하화 계획은 충분한 안전대책이 마련된 후 논의하고 전면 재검토를 요청한다”고 꼬집었다.
시 관계자는 “공영차고지 지하화 안전 우려는 여러 차례 제기가 돼 충분히 공감하고 있다”며 “하지만 시 입장에서는 각종 위험성에 대해 충분히 용역을 통해 전반적인 검토와 안정성을 최대한 확보해 사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