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 일반구 3곳 설치·36개 행정동 체제 전환… 행안부 승인

부천시청 전경

 

행정안전부는 부천시가 요청한 자치구가 아닌 구(일반구) 3개(원미·소사·오정) 설치를 승인했다고 21일 밝혔다.

 

부천시는 앞서 지난해 12월 3개 일반구 설치를 행안부에 요청했으며 행안부 승인에 따라 조례로 일반구를 둘 수 있게 됐다.

 

지방자치법에 따라 인구 50만명 이상 시(특별자치시 제외)에는 행안부 장관 승인을 받아 일반구를 둘 수 있다.

 

부천시는 2019년부터 광역동체제로 전환하고 10개 책임동을 중심으로 인근 26개 동을 통폐합해 행정동을 36개에서 10개로 줄였다.

 

그러나 주민들이 거주지에서 먼 광역동에서 행정서비스를 받아야 하고 민원 처리 기간도 늘어 불편하다는 민원이 제기됐다.

 

조용익 시장은 광역동 폐지와 3개 일반구 복원 및 36개 행정동 전환을 제1호 공약으로 내세웠다.

 

시는 이에 따라 시민 의견 수렴과 시의회 의결 후 경기도를 거쳐 행안부에 3개 일반구 설치 승인을 요청했다.

 

시는 3개 일반구와 36개 행정동에 스마트·복지·안전기능을 현장 중심으로 배분한 새로운 행정모델을 구현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일반구 설치에 따른 인건비와 건설비를 절감하도록 한 행안부 지침에 따라 행정비용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별도 인력 충원 없이 4급 직위를 22개에서 13개로 축소하고 5급으로 전환해 인건비를 절감할 방침이며 청사도 기존 청사를 재활용해 건설비용도 줄일 예정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