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부지 조성공사 마무리... 공동주택 착공은 줄줄이 연기 상업시설 사업자 포기 소문까지... 장기간 표류 가능성에 초비상
양주시가 추진 중인 양주역세권개발사업이 9월 책임준공을 앞둔 가운데 토목공사만 이뤄진 채 상업·업무시설, 공동주택은 내년에나 착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사업지구가 상당 기간 방치될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25일 양주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17년 3월 4천241억원을 들여 남방동 양주역 일원 64만3천762㎡를 개발하는 양주역세권개발사업 시행승인을 받아 사업을 시작했다.
양주시 42%, 대우·중흥건설 등 민간 58% 등의 비율로 시행사인 양주역세권개발PFV를 설립해 보상에 들어갔고 2020년 부지 조성 공사에 착수, 다음 달 말 부지 조성 공사 준공에 이어 9월 말 책임준공을 마칠 계획이다.
책임준공을 마치면 내년 7월 신탁사로부터 소유권을 넘겨 받아 양주역세권개발PFV를 청산한다.
하지만 최근 부동산경기 침체로 전체 부지 중 40%인 업무지원용지(3만9천341㎥)의 경우 조성원가 아래로 분양할 수도 없어 토지분양 시점을 결정하지 못한 채 미분양 물량으로 남겨 놓은 상태로 양주역세권개발자산관리㈜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공동주택 건설도 대우건설이 지난해 9월 분양하려던 계획을 내년 5월 이후로 미룬 데 이어 임대주택을 건축하는 중흥·제일건설은 사업 시기를 결정하지 못한 채 부동산시장 추이만 지켜보고 있다.
특히 상업용지의 경우 3.3㎡당 2천300만원대에 낙찰 받은 개인 낙찰자가 지지부진한 사업 진척으로 100억원대 손해를 감수하면서 사업을 포기할 것이란 소문까지 나도는 등 분양대금 미납으로 인한 자금난 우려도 커지고 있다.
PFV 운영사인 양주역세권개발자산관리㈜는 은행권에 8~9%대 이자율로 2천억원대 추가 대출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역세권개발사업이 성공하려면 토지를 분양 받은 기업과 개인이 대금을 완납하고 실제 착공으로 이어져야 하나 최근의 부동산경기 침체로 언제 실제 착공으로 이어질지 예측하기 힘들어 자칫 장기간 방치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양주역세권개발자산관리㈜ 관계자는 “낙찰자들이 분양대금을 완납하지 않아 차질이 빚어지면 결과적으로 사업 전체가 연장될 수밖에 없어 이에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올 하반기 상황이 좀 나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시 입장에선 수익 1억~2억원보다는 조속히 개발되는 게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