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공론장서 최적 대안 제시 市 “적극 수용… 2029년 완료”
중단됐던 의정부시 장암동 쓰레기 소각장의 자일동으로 이전 신설이 하반기부터 본격화해 2029년까진 마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시민공론장이 장암동 쓰레기소각장 최적 대안으로 자일동 이전 신설을 재정사업 추진으로 권고하고 김동근 시장이 수용하겠다고 밝혀서다.
16일 의정부시에 따르면 지난 2018년 자일동 환경자원센터 내 부지 1만4천870㎡로 입지 선정공고를 한 장암동 쓰레기소각장 이전 신설은 전략환경영향평가 협의를 마치고 지난해 11월 중앙환경분쟁 조정위가 조정까지 했다. 계획대로라면 늦어도 2027년까지 끝낼 수 있었다.
하지만 자일동과 인근 주민들이 반발하고 전면 재검토를 공약한 김동근 시장이 지난해 7월 취임한 뒤 행정절차가 전면 중단됐다.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워킹그룹을 통해 쓰레기 배출 및 처리 실태 등을 전반적으로 검토한 뒤 시민토론을 통한 해결 방안 모색에 나서 지난 6월 시민공론위원회가 출범했다.
4개 권역별 15명씩 선발된 60명의 시민참여단은 지난 1, 8, 15일 등 모두 세 차례 토론을 거쳐 노후하고 처리용량이 한계에 달해 대책이 시급한 장암동 소각장에 대해 방안을 내놨다.
참여단의 70% 정도가 자일동으로 옮겨 현 규모 200t보다 늘려 지하화해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
단, 자일동 주민들에 대한 충분한 보상과 최신 설비 등 환경보호 대책을 전제로 했다.
특히 참여단은 압도적으로 미래 세대 부담으로 돌아올 민간투자 유치보단 재정사업으로 추진을 원했다.
시민참여단은 합의된 의견을 정리해 15일 공론장에서 김 시장에게 전달했다.
김 시장은 이 자리에서 “시민들이 숙의를 거친 결론은 어떤 것이든지 그대로 받겠다. 그대로 실천될 것이다. 또 자일동은 생태마을로 바꾸는 등 큰 변화가 있을 것”이라며 시민공론장 뜻을 받들고 충분한 보상을 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이에 따라 장암동 소각장은 자일동 환경자원센터 내 부지로 옮겨 220t 규모로 늘려 지하화하고 재정사업으로 추진하는 게 확실시된다.
시는 그동안 중단됐던 행정절차를 속개해 연말까지 입지 선정공고를 하고 내년부터 2025년까지 기본계획 수립, 지방재정 타당성 조사, 개발제한구역 관리계획 변경, 투융자심사, 전문기관 위수탁 등의 절차를 거쳐 소각장 설치계획 승인을 받는 등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전정일 자원순환과장은 “계획대로 절차가 진행되면 2026년 착공, 2029년까진 소각장 이전 증설을 마칠 수 있다”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