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화성시의 한 기업은 자동차부품을 제조하는 근로자 35명의 소기업이다. 사업주 A씨는 재정 여력이 녹록지 않아 노후한 위험 기계와 재래형 방호장치 교체에 많은 비용을 투자하기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많았다.
특히 산업용 로봇의 경우 법적 방호장치인 안전방책 및 안전매트가 설치돼 있어 정상 작업 중에는 사고가 발생할 위험은 낮으나 산업용 로봇의 검사·수리·조정 작업 등 작업자가 로봇 주변에 설치된 방책 안으로 들어가 작업하는 경우 로봇이 오작동하거나 다른 작업자의 조작 실수로 로봇에 끼이거나 충돌할 경우 작업자가 사망할 수 있는 중대재해 위험이 항상 존재하고 있어 불안하고 고민이 많았다. A씨의 고민은 어떻게 해결할 수 있었을까.
이에 대한 해법은 산업용 로봇작업 시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스마트 통합안전시스템’에서 찾을 수 있었다. 만약 작업자가 로봇 가동을 중지하지 않은 채 로봇 방책 내부로 진입하면 스마트 안전장비(3D 레이저 스캐너 등)가 사람이 접근하는 것을 인지해 로봇의 가동을 서서히 감속시키고 사고위험 구역 내에 근접하면 로봇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방호장치다. 또 이 같은 불안전한 행동은 관리감독자 등에게 무선통신을 통해 신속히 상황을 알려줘 재발 방지를 위해 대책 수립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획기적인 시스템이다.
그간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혁신적인 장비임에도 중소기업에서 도입을 꺼렸던 이유는 값비싼 설치비용이 가장 큰 문제였다. 올해 4월부터 정부는 사고 예방을 위해 스마트 안전장비 도입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총 250억원의 재원을 투입해 투자비용의 80%를 지원하는 보조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기업 대표 A씨도 올해 스마트 안전장비 지원사업을 통해 투자비용의 80%까지 지원을 받아 산업용 로봇에 스마트 안전장비를 설치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중대재해를 획기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됐다.
스마트 안전장비 지원에 관심이 있는 중소기업은 ‘안전보건공단 클린사업장 조성사업’ 누리집을 통해 공단본부에서 진행하는 공모 기간에 신청해 선정되면 스마트 안전장비 구입 비용의 최대 80%를 사업장당 3천만원 한도로 지원받을 수 있다.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시설 및 장비는 점점 복잡하고 대형화되는 추세로 산업현장의 스마트 안전장비 도입이 시급한 것이 현실이다. 특히 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재정 상황이나 정보력이 취약해 스마트 안전장비 도입이 어려운 중소기업에 대한 정부의 지원사업이 중소기업의 안전수준을 한 단계 높여 중대재해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외부 필진의 기고는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