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메가시티 이야기

‘말은 태어나면 제주로 보내고 사람은 태어나면 서울로 보내라’라는 옛말 속에 한국인들의 서울에 대한 동경이 담겨 있다.

 

오랜 세월 대한민국 수도 서울은 출세의 상징이었다. 돈을 벌기 위해 자녀 교육을 위해 서울로 서울로 향했다. 밥 벌어먹기 힘든 지방일수록 살기 위해 서울 입성은 절박했다. 서울에는 좋은 일자리가 있고 명문대학과 종합병원, 대형 쇼핑몰도 즐비하다. 한강뷰 아파트는 거의 모든 범인들의 로망이다.

 

서울은 팽창에 팽창을 거듭했다. 사대문 안 옛 서울을 넘어 대대적인 강남 개발 등으로 경기도를 잠식하더니 지금의 ‘메가시티’를 형성했다. 현재 서울 땅의 상당 부분이 옛 경기 광주군, 양주군 관할이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지방에서 올라왔으나 지금은 서울시민이 된 콧방귀 좀 뀐다는 유력 정치인, 성공한 사업가, 고위 공무원들에게는 관심 없는 이야기다.

 

지금도 주변엔 서울 입성을 꿈꾸는 사람들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자녀 교육 때문에 무리해 서울에 전셋집이라도 얻고, 이왕이면 서울 소재 직장에 다니고 싶어 한다. 서울의 매력은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다.

 

서울이 혼자 잘나가다 보니 상대적으로 호남, 영남, 충청, 강원 지방은 소외감을 느낄 수밖에 없다. 경기도 역시 예외는 아니다. 서울은 반짝반짝 빛나지만 인접 경기도 지자체는 차량기지, 폐기물처리시설 등 서울의 혐오 시설을 떠안는 등 상대적으로 불만이 팽배하다. 출퇴근길 지옥철 이야기는 서울시민보다 경기도민이 더 공감하는 골칫거리다.

 

최근 이런 경기도민의 소외감을 정치권이 자극했다. 서울 인접 지자체를 서울로 편입시키겠다는 것이다. 단서조항이 붙긴 했다. 주민이 원할 경우. 김포시가 먼저 움직였다. 서울 편입에 가장 적극적이다. 김병수 김포시장이 오세훈 서울시장을 만나 공식적으로 편입을 제안했다. 국민의힘에서 당론으로 추진한다고 하자 국민의힘 소속 백경현 구리시장도 서울 편입에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고 있다.

 

그러나 경기도 지자체 서울 편입 추진이 어떤 결과를 낼지는 아직 미지수다. 도내 지자체별 상황과 입장이 다르고 무엇보다 경기도가 강력하게 반대하고 있다.

 

메가시티 서울은 이미 포화 상태다. 이 때문에 신도시 지정 등이 경기도에 집중될 수밖에 없는 구조다. 따라서 경기도민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현재 서울시 인구는 940만9천명, 경기도는 1천400만명으로 경기도가 서울을 압도적으로 넘어선 지 오래다. 논란 속의 서울 편입 논의와 별개로 경기도 지자체들이 살기 좋은 자족기능을 갖춘 명품 신도시를 조성하는 데 공을 들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경기도 자체만으로 이미 서울에 버금가는 메가시티기 때문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