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배원 안전은 나중’…우정사업본부 전기차 도입 ‘느릿느릿’

이륜차보다 안전·업무 효율성↑... 연도별 공급 확대 계획 ‘안갯속’
올해 입찰 참여 업체·보급 ‘전무’... 본부 “국내 생산 고려 사업 조정”

해당 기사와 관련 없음. 이미지투데이

 

이륜차 이용 집배원의 교통사고가 잇따르자 우정사업본부가 초소형 전기차를 대규모 도입한다고 발표했지만 사업이 더디면서 집배원의 안전은 뒷전이라는 지적이다. 더욱이 올해는 전기차를 한 대도 도입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21일 우정사업본부 등에 따르면 본부는 지난 2018년 집배원의 안전을 보장하고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예산 125억원을 투입, 우편배달용 초소형 전기차 도입 사업을 시작했다. 입찰을 통해 전기차 리스 업체를 선정해 전기차를 도입하는 방식이다.

 

우편배달용 초소형 전기차는 이륜차에 비해 날씨의 영향을 덜 받으며 사고로부터 안전하다. 또한 적재 중량이 60㎏ 이내인 이륜차와 달리 100~250㎏의 고중량 우편물을 담을 수 있어 업무 효율성이 높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부는 이 같은 초소형 전기차를 2018년 1천대, 2019년 4천대, 2020년 5천대 등 연도별로 도입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실제 구매 계획은 미뤄지고 규모 역시 크게 줄어들었다. 지난해 기준 전국적으로 도입된 초소형 전기차는 당초 계획인 10의 1 수준인 1천304대에 그친다. 경기도의 경우도 초소형 전기차 도입이 2019년에 229대, 2020~ 2021년 83대, 2022년 38대에 불과했다. 더욱이 올해는 본부 전기차 사업 입찰에 참여한 리스 업체가 없어 한 대도 도입되지 못했다.

 

이러는 사이 이륜차를 이용하는 집배원들의 사고는 계속 발생하고 있다. 지난 7월 평택의 한 우체국 소속 집배공무원 A씨는 트럭과 사고가 나 손가락 4개가 골절되고 힘줄이 끊기는 부상을 당했다. 그는 좁은 도로를 운행하다 맞은편에서 오는 트럭을 보고 멈춰 섰지만 트럭 철제 고리에 손이 치여 사고를 당한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올해 3월 부천에서도 이륜차로 우편물을 배달하던 B씨가 교통사고를 당해 머리를 크게 다쳤다. 사고 당시 B씨는 3차로를 주행하고 있었는데 이륜차를 보지 못한 택시가 2차로에서 빠른 속도로 끼어들었고 B씨는 택시 아래로 깔렸다.

 

본부는 단기간 대규모 도입 시 외국산 전기차가 대량으로 유입될 우려가 있으며 국내 생산 여력을 고려해 사업을 조정, 순차적으로 도입하겠다는 입장이다. 우정사업본부 관계자는 “올해는 전기차 입찰에 참여하는 업체가 없어 도입되지 않았다. 대신 연말까지 일반 전기 승용차를 대체 도입할 예정”이라며 “집배원의 안전성과 효율성 등을 분석해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