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 선거구 획정에 관심 고조…출마 예정자 촉각

삼성전자 평택캠퍼스와 평택 고덕국제화신도시 전경. 평택시 제공
삼성전자 평택캠퍼스와 평택 고덕국제화신도시 전경. 평택시 제공

 

제22대 국회의원선거 시 평택지역 선거구 한 곳이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면서 구체적 지역 획정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가 지난 5일 오후 국회에 제출한 ‘선거구 획정안’에 따르면 평택시는 기존 갑·을 2곳에서 갑·을·병 3곳으로 증가한다.

 

현재 평택지역 정가에선 생활권을 고려해 고덕동과 고덕면(4만2천915명)에 안중읍·오성면·청북읍·통복동·포승읍·현덕면(10만6천687명)이 하나로 합쳐지리란 전망이 우세하다.

 

다만 선거구 간 균일한 인구수를 고려해 통복동(3천969명)이나 세교동(3만3천982명)을 여기에 포함해 18만7천553명으로 맞추지 않겠냐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

 

이 경우 나머지 선거구는 각각 19만2천627명(동삭동·중앙동·지산동·진위면·서정동·서탄면·송북동·송탄동·신장1동·신장2동)과 19만9천831명(비전1동·비전2동·신평동·용이동·원평동·팽성읍)이 된다.

 

다만 예비후보자 등록일인 오는 12일까지 일주일도 남지 않은 탓에 출마 예정자를 중심으로 물밑에선 복잡한 셈법이 오가고 있다.

 

획정안은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법제사법위원회 등을 거쳐 본회의에 회부되기 때문에 예비후보자 등록 전에 확정될 수 없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더불어민주당이 이번 획정안을 두고 편향적이라며 반발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면 한 번에 통과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면서 출마 예정자들 사이에선 기대와 함께 깜깜이 선거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한 출마 예정자는 “고덕과 서부를 합치면 15만여명이고 양측 국회의원도 이 정도 선에서 합의하지 않겠느냐”면서도 “올 4월에 결정할 사안이 이제야 통과됐으니 예비후보자 입장에선 혼란스럽다”고 토로했다.

 

다른 예정자도 “모든 것이 불투명하니 기껏 운동한 곳이 나중에 다른 선거구가 되는 등 불합리한 일이 발생한다”며 “정치도 많이 발전했는데 국회에서도 매번 선거구 획정이 늦어지는 상황을 개선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지적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