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협중앙회(이하 신협)가 올해 인천경기지역서 총 6건의 보이스피싱 피해를 사전에 차단했다.
신협은 올해 10월을 기준 전국 51개 신협에서 54건, 총 21억원의 금액에 달하는 보이스피싱 사고를 예방했다고 7일 밝혔다.
지역별로는 대전충남지역이 13건으로 가장 많은 건수를 기록, 이어 부산경남지역, 광주전남지역, 충북지역이 각 7건이다. 인천경기지역은 6건, 대구경북지역 5건 등이다.
유형별로는 검찰·기관 등 사칭 유형이 23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대출사기 유형 13건, 자녀납치 협박 유형 9건, 개인정보유출 유형 7건과 인출책 검거가 2건이다.
구체적인 예방 우수사례를 살펴보면 전주동협 신협에서 검찰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사건으로 2억원 상당의 피해를 예방했다. 지난 6월 A 조합원은 예탁금 2억원을 중도해지하며 전주동부신협 B주임에게 수표 발행을 요청했다. B주임은 해당 조합원이 평소 고액 인출과 중도해지와 중도해지가 거의 없었던 점 등을 기억해 사용용도를 문의했다. 조합원은 “조카가 교통사고를 내 합의금을 마련해야 한다”며 신속한 해지를 요구했다.
A 조합원의 횡설수설하는 모습에 보이스피싱을 직감한 B주임은 전기통신금융사기 업무 매뉴얼에 따라 경찰에 신고했고, 그가 검찰사칭 전화를 받은 것을 확인했다. 보이스피싱범은 A조합원이 검찰청에 확인 전화를 하자 중간에 전화를 가로채고, 출금한 수표는 검찰청으로 가지고 오면 된다는 등 믿게 만들었던 것이다. A조합원은 “보이스피싱 피해를 당하게 될 줄 몰랐다”고 말했다.
광주웨슬리신협에선 질병관리청사칭 사건에 총 1억5천만원 상당의 피해를 예방했다. C조합원이 질병관리청을 사칭한 전화를 받은 후 그의 휴대전화에는 보이스피싱범이 제작한 악성어플이 설치됐다. 다음날 C조합원은 신협계좌에 자동이체 설정 문자가 왔다며 연락했고, 해당 신협의 D대리는 상담 중 보이스피싱임을 인지했다. 조합원의 거래를 확인한 D대리는 이미 조합원 명의로 대포폰이 개통됐고, 본인인증을 완료한 금융기관이 19개에 달하며 이중 대출 신청 건도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
D대리는 바로 경찰에 사건을 접수해 조합원의 예금지급정지 후 휴대폰명의도용방지를 통해 대포폰 해지와 개통장비를 신청하고 금융감독원 개인정본노출자 등록과 주민번호 변경신청까지 도왔다. 새 주민번호가 발급되기까지 2주간 사기범은 지속적으로 대출신청 및 이체를 신청했으나 D대리의 계속된 도움으로 피해를 예방할 수 있었다.
추창호 신협중앙회 금융소비자보호부문장은 “날이 갈수록 수법이 교묘해지는 보이스피싱 사기로부터 조합원의 소중한 재산을 보호할 수 있도록 더욱 촘촘한 피해예방 마련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