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병점역 등 도내 지하철역 110곳 있지만 시민 대부분 “위치 모르고 들어본 적도 없어” 지자체 “SNS 활용 등 다양한 홍보 방안 마련”
“스마트도서관이 무엇인지도 모르고, 어디에 있는지도 모릅니다.”
13일 오전 8시께 병점역 지상 2층에 설치된 스마트도서관. 지하철역을 이용하는 시민들 누구나 도서관 회원증만 있으면 책을 바로 빌리고 반납할 수 있지만, 스마트도서관을 이용하는 시민은 찾기 쉽지 않았다. 이곳을 이용하는 시민은 월 평균 80명으로, 책을 빌리는 사람은 하루에 3명도 안 되기 때문이다. 시민 박혜진씨(29)는 “스마트도서관을 사용해 본 적이 없다”며 “병점역을 자주 지나다니는 데도 이곳에 설치돼 있다는 사실조차 처음 알았다”고 말했다.
같은 날 세마역 광장에 있는 스마트도서관도 사정은 마찬가지. 경기일보 취재진이 지하철역을 오가는 시민 20여명에게 스마트도서관에 대해 물어본 결과, ‘스마트도서관을 들어본 적도 없다’라는 답변이 대다수였다. 실제 올해 11월까지 이곳의 이용자 수는 133명으로, 한 달 이용자 수가 10여명에 불과하다.
경기도내 설치된 일부 스마트도서관의 하루 평균 이용자 수가 1명에 그치는 등 이용률이 저조해 활성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날 경기도 등에 따르면 스마트도서관은 도서관 방문이 어려운 이용자들을 위해 역사 등 유동 인구가 많은 곳에 설치한 무인 도서 대출 시스템이다. 지난해 기준 도내 설치된 스마트도서관은 총 110곳이다.
하지만 오산, 화성, 광주 등 일부 지자체에 설치된 스마트도서관의 하루 평균 이용자 수가 1~3명 내외인 것으로 나타나 활용도가 떨어진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더욱이 스마트도서관 한 곳을 설치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이 최소 6천만원에서 1억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나 예산 낭비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이에 대해 남영준 중앙대 문헌정보학과 교수는 “스마트도서관의 설치율을 무작정 늘리는 것이 능사가 아니다”라면서 “스마트도서관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이용 방법 안내와 교육뿐만 아니라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도내 한 지자체 관계자는 “스마트도서관 설치 초반에는 홍보 등을 적극적으로 했지만, 지금은 시간이 지나 모르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면서도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채널 등을 통한 활용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