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경제적 비용 年 850억↑ 발생 계열사, 조치 없이 수익사업만 전념
CJ그룹 계열사 한국복합물류㈜가 운영하는 군포복합물류터미널로 인해 환경·교통·소음·분진 등에 연간 수백억원대 사회·경제적 비용이 발생하고 있어 원인자 부담 등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16일 군포시 등에 따르면 한국복합물류㈜ 군포복합물류터미널은 지난 1997년부터 부곡동 1231번지 일원 부지 70만3천㎡에 정부 국가물류정책과 수도권물류거점 기능 등을 위해 국내 최대 규모의 물류기지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30년 가까이 지난 지금은 노후 물류기지로 처리능력 한계와 지역사회 편익시설 등이 없이 단순 물류 집배송과 창고, 임대업 수준의 운영 방식이 이어지고 있어 시에 막대한 비용만 부담시키는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있다.
현재 군포복합물류터미널 주변은 원도심과 신시가지가 조성됐으나 이들 지역 간 생활권 단절은 물론 물류량 증가에 따른 화물차 증가로 교통혼잡, 환경오염, 도로관리 등에 많은 비용과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상응하는 복합물류센터 측의 조치나 대책 등은 없어 국가 물류산업의 공익적 책임보다는 수익사업에만 전념하고 있다는 비난이 이어지고 있다.
실제 이날 오후 이곳에는 전국에서 몰려든 대형 화물트럭들이 다음날 오전까지 입차와 출차가 이어지면서 교통 혼잡, 차량 매연, 소음공해, 분진 등 환경오염이 이어지고 있다.
2년여 전 용역조사에 따르면 군포복합물류터미널로 발생되는 사회·경제적 비용만도 연간 850억원이 넘는다는 결과도 나왔다. 당시 터미널 이용 차량 중 하루 2만7천여대가 군포시가지 도로를 이용하며 중·대형 화물차도 하루 3천여대에 이른다는 것이다.
이들 차량 중 상당수는 군포 주요 도로인 국도 47호선, 번영로 등을 이용하며 각종 사회경제적 비용으로 시민들에게 직간접적인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
군포시민 A씨는 “국가물류산업 전초지기로 수도권 물동량을 책임지는 CJ그룹 계열사가 지역사회에 끼치는 피해보다는 기업 이익에만 전념하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경기일보는 한국복합물류㈜ 입장을 듣기 위해 통화를 시도했으나 연결되지 않았다.
군포복합물류터미널은 지난 1994년부터 개발제한구역에 BOT 방식으로 2차에 거쳐 조성돼 1단계(38만1천여㎡) 사업부지는 2028년, 2단계(32만1천여㎡)는 2042년까지 사용 계약된 상태다. 터미널 부지는 국토교통부, 건물은 한국복합물류㈜ 소유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