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선호 지역사회부장
4·10 총선을 앞두고 지역 정가가 활기를 띠고 있다. 각 정당 공천이 본격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예비후보로 등록한 출마 예정자들은 눈비가 내리는 궂은날에도 불구하고 새벽부터 동네 사거리와 전통시장에 모습을 드러냈다. 저마다 국회에 가면 ‘지역 현안부터 해결하겠다’고 명함을 돌리며 표를 호소 중이다. 선거철 단골 풍경이다. 그러나 막상 선거가 끝나면 다시 조용해진다.
선거철마다 선심성 표심을 자극하는 이른바 ‘묻지마 공약’이 남발되고 있다. 이런 공약들은 구체적인 예산 확보 계획 등은 빠져 있지만 유권자들이 관심 많은 분야라는 것이 공통점이다.
이번 선거에서도 정치권은 어김없이 철도 지하화, 지하철역 신설, 도로건설, 도시개발 등 부동산 지역발전 분야는 물론 청년, 여성, 노인 등 세대별, 장애인 등 소외계층을 타깃으로 한 맞춤형 공약까지 다양한 장밋빛 공약으로 유권자들을 유혹하고 있다. 정권 심판, 정치 개혁도 단골 공약 중 하나다. 특히 경기지역에선 서울 인접 경기도 지자체를 서울로 편입하는 메가시티 공약이나 경기북도 설치 등 행정구역 개편 공약까지 등장했다.
그러나 여야가 발표한 파격적인 총선 공약은 구체적 실행 계획을 찾아보기 어렵다는 점이 아쉽다. 이번 총선에서 현재까지 여야가 제시한 공약 중 예산 규모가 파악된 것만 143조원에 달한다는데 실현 가능한지 의문이 제기될 수밖에 없다.
시민들의 경험상 정치권은 선거 때마다 공약 실천을 위한 재원 마련 계획에 대해서는 “앞으로 마련하겠다. 반드시 실천하겠다. 믿어 달라”는 추상적인 말을 남긴 뒤 유야무야 넘어가기 일쑤였다. 다음 선거 때 확인해 보면 지켜지지 않은 공약은 허다했다.
이에 경기도민들은 지역 국회의원들이 과연 지역을 위해 일하고 있는지 의문을 제기한다. 경기 북부는 그동안 수도권 규제 때문에 역차별을 받아 왔다. 단지 같은 수도권이라는 이유로 연천, 가평 등 군 단위 지역까지 과도한 규제를 받고 있어 오히려 경기도에서 제외시켜 달라는 목소리마저 나온다. 미군이 이전한 뒤 공황 상태에 빠진 동두천은 공여지 개발을 원하고 있으나 답보 상태다. 경기 남부의 경우 수원 군 공항 이전에 대한 수원시민들의 염원, 개발한 지 30년이 넘은 성남 분당신도시 등 1기 신도시 노후 문제 등은 가시적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이런 오래된 현안들은 모두 지역민들을 대표한다는 국회의원들이 해결해야 할 몫이다.
경기지역 국회의원은 59명, 인천 13명, 경기·인천에서만 72명이다. 서울 49명까지 포함하면 수도권 국회의원은 121명에 달한다. 지역민을 대표한다는 국회의원들이다. 경기도 국회의원은 경기도민을 위해 일해야 마땅하다. 그 동안 지역 현안 관련해 여야를 떠나 공감대를 갖고 해결하려는 노력이 부족했다. 시민들은 여야가 정쟁은 하더라도 지역 현안 문제 해결을 위해선 한목소리를 내는 국회의원을 원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